유교 경전인 서경에서 제시하는 오복(五福)...
그러나 현대인이 생각하는 오복은?
오복(五福)이란, 유교(儒敎) 경전(經典)인 서경(書經)의 홍범(洪範)편(編)에서
제시하는 인간이 삶에서 얻을 수 있는 다섯 가지 복(福)을 일컫는 말이다.
※
洪範九疇(홍범구주)=
≪서경(書經)≫의 홍범(洪範)에 기록(記錄)되어 있는, 우(禹)가 정한
정치(政治) 도덕(道德)의 아홉 원칙(原則). 오행(五行), 오사(五事), 팔정(八政),
오기(五氣), 황극(皇極), 삼덕(三德), 계의(稽疑), 서징(庶徵) 및 오복(五福)과
육극(六極)이다.
옛날부터 사람이 살아가면서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 다섯(5) 가지의 복(福)을
오복(五福)이라고 했다.
고대(古代) 중국(中國) 유교(儒敎)의 5대 경전(經典) 중에 하나인 서경(書經)에
오복(五福)을 논(論)하고 있다.
첫번째는
수(壽)로서 천수(天壽)를 다 누리다가 가는 장수(長壽)의 복(福)을 말했다.
두번째는
부(富)로서 살아가는데 불편하지 않을 만큼의 풍요로운 부의 복을 언급했다.
세번째는
강령(康寧)으로 몸(身體)과 마음(心)이 건강(健康)하고 깨끗한 상태(狀態)에서
편안(便安)하게 사는복(福)을 지적했다.
네번째는
유호덕(攸好德)으로 남에게 많은 것을 베풀고 돕는 선행(善行)과 덕(德)을 쌓는
복(福)을 말했다.
다섯번째는
고종명(考終命)으로 일생(一生)을 건강하게 살다가 고통(苦痛)없이 평안하게
생(生)을 마칠 수 있는 죽음의 복(福)을 강조(强調)했다.
사람들이 이 처럼 오복(五福)을 큰 행복으로 여겼기 때문에 새 집을 지으면서
상량(上梁)을 할 때도 이 오복(五福)을 염했다.
대들보 밑에다가 "하늘의 세가지 빛에 응하여 인간 세계엔 오복을 갖춘다"는
뜻의 "응천상지삼광(應天上之三光) 비인간지오복(備人間之五福)"이라는
글귀를 써 넣기도 했다.
그러나 서민(庶民)들이 원(願)했던 또 다른 오복으로는 그렇다면 현대인들이
생각하는 오복(五福)은 무엇일까요?
① 건강(健康),
② 배우자(配偶者),
③ 재산(財産),
④ 일(거리), 그리고
⑤ 친구(親舊)를 갖는 것이다.
결국 오복(五福)이란 웰빙(well being)하고 있다가 웰다잉(Well-Dying) 하는데
필요한 요소(要素)라고 볼수 있다. 즉, 잘 산다는 것(well being)은 잘 죽는것
(Well-Dying)과 연결되어 있다.
언제 인생(人生)이라는 무대(舞臺)에서 그 막(幕)을 내릴지 어느 누구도 모르는
유한(有限) 인생 과정에서 행복(幸福)하려면 결국 오복(五福)을 누려야 된다.
오늘이 마지막인 것처럼 최선(最善)을 위해서 살다보면, 오복(五福)은 저절로
자연(自然)스럽게 구비(具備)하게 된다는 점이다.
뉴스비전e와 김창환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또 다른 정보가 더 보고싶은 회원님은 하단에 있는
뉴스비전e "URL"을 클릭하세요.
뉴스비전e ; 김창환 칼럼니스트(newsvision1@nvp.co.kr)
공주대학교 행정학박사 겸 연구교수 한국의정연수원 교수
충남공무원교육원 교수
글로컬 커뮤니티연구소 소장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저작권문의
https://www.nvp.co.kr/
WWW.광주중의대.com
'쉬어가는 페이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빈병 아깝잖아~” 참기름 담고, 간장 담고... 가족들 ‘병(病)’ 부른 엄마의 이 습관 (0) | 2025.02.18 |
---|---|
이곳을 보면, 착하게 살 수밖에 없다! ... 전 세계에서 최악의 여성 교도소 Top 7 (0) | 2025.02.17 |
세상에서 가장 가혹하고 극단적인 도로 "7"... 보고도 믿기지 않는 아찔하고 위험한 도로 (0) | 2025.02.10 |
계좌번호 함부로 적어두지 마세요... 신종(新種) 보이스피싱 표적 된다 (0) | 2025.02.04 |
이런 사람 밑에 있다면 당장 도망가라? 제갈량(諸葛亮)의 나쁜 상사 8가지 특징 (0)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