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질(體質= Constitution)의학(醫學)이란?
사상의학, 체질의학, 8체질의학 이론
체질론(體質論)은 인간(人間)에게서 다름을 보려는 이론(理論)이다.
사람의 다름에 대한 인식은 동양과 서양의 의학(醫學) 성립시기부터 있었다.
《영추(靈樞)》 72편인 「통천(通天)」에는 오태인(五態人)이 나온다.
◈ 태양지인(太陽之人),
◈ 태음지인(太陰之人),
◈ 소양지인(少陽之人),
◈ 소음지인(少陰之人),
◈ 음양화평지인(陰陽和平之人)이다.
그리고 64편인 「음양이십오인(陰陽二十五人)」에서는
▣ 목형지인(木型之人),
▣ 화형지인(火型之人),
▣ 토형지인(土型之人),
▣ 금형지인(金型之人),
▣ 수형지인(水型之人)으로 나눈 후에
이것을 오음(五音)인 "궁,상,각,치,우(宮.商.角.徵.羽)"로 세분했다.
서양의학(西洋醫學)의 시조(始祖)라 불리는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는
◆ 혈액(血液),
◆ 점액(粘液),
◆ 황담즙(黃膽汁),
◆ 흑담즙(黑膽汁)의
4대 체액설(體液說)을 주장(主張)했고,
로마(Roma)시대(時代)에 갈렌(Cladius Galen)은
◇ 다혈질(多血質),
◇ 담즙질(膽汁質),
◇ 우울질(憂鬱質),
◇ 점액질(粘液質)로
4대 기질설을(氣質說) 내세웠다.
동무(東武) 이제마(李濟馬) 공(公)은 「통천」에서 사상인론(四象人論)의
아이디어를 가져왔으며, 〈상한론(傷寒論)〉을 설명의 도구로 삼아서 사상인
병증론을 전개하면서 자신의 이론을 증명해내려고 했다.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이 세상(世上)에 나온 20여년쯤 이후부터
후인들은 동무 공의(公) 의학체계를 사상의학(四象醫學)이라고 불렀다.
사상의학
사상의학(四象醫學)이란 용어(用語)의 기록(記錄)으로 가장 앞서는 것은
1924년에 도은규(都殷珪)에 의해서다.
도은규(都殷珪)는 함경남도 출신으로 사상의학 연구에 힘을 썼던 인물이다.
동서의학연구회에서 활동하면서 함경남도(咸鏡南道) 지부장을 지냈다.
그는 1924년부터 『동서의학연구회월보(東西醫學硏究會月報)』를 통해서
‘사상의학(四象醫學)의 해설(解說)’이라는 글을 연재하였다.
그러다가 동무(東武) 이제마(李濟馬) 공(公)의 사상의학(四象醫學)을
체질의학(體質醫學)이라고 적극적으로 표현한 사람이 있다.
사상의학회 (四象醫學會) 부회장이던 권항전(權巷全)은 동무(東武) 공의
123회 탄일(誕日)을 맞아 1959년 4월 26일에 『동아일보』에 기고한 글에서,
‘사상의학을 체질의학으로 바꿔 말할 때 가장 간명한 설명이 된다.’ 하였다.
동무(東武) 이제마(李濟馬) 공(公)의 탄생일(誕生日)을 기념한 신문(新聞)
기고는 보통은, 1945년에 사상의약보급회를 창설했고, 이를 이어 1957년에
출범한 사상의학회에서도 회장을 맡았던 이현재 선생의 몫이었다.
그런데 1959년에는 사상의학회 부회장인 권항전이 기고(寄稿)를 맡았다.
특별히 이 해에 권항전(權巷全)이 글을 기고한 배경에는 ‘체질침(體質鍼)의
창안’라는 자신감이 있다고 나는 짐작한다.
그런데 권항전(權巷全)이라는 분이 바로 권도원(權度沅) 선생(先生)이다.
체질의학
체질의학(體質醫學)은 인간(人間)이 가진
▶ 체질적 조건과
▶ 개인과 개인,
▶ 개인과 사회,
▶ 개인과 환경 사이의 관계를 규정하고,
이러한 관계로부터 발생하는 부조화 (不調和)를 조정(調整)하는 적합한
치료법의 체계를 궁리하고 규명하는 학문이다.
동호(東湖) 권도원(權度杬) 선생의 8체질론은 사상인론이 뿌리이다.
권도원 선생은 한증(寒症)과 열증(熱症)으로 나뉘는 사상인 병증론으로부터
여덟 가지(8)의 병근(病根)을 도출했고, 이 병근 이론(理論)이 결과적으로
사람의 8체질(八體質)로 확립(確立)되었다.
8 체질론이라는 용어는 체질침(體質鍼)의 「2차 논문」에 처음 등장한다.
8체질의학
8체질의학(八體質醫學)은 8체질론에 의거하여 생리(生理)와 병리(病理),
진단(감별)과 치료법이 조직(組織)된 의학체계(醫學體系)이다.
8체질론의 씨앗은 일제강점기(日帝强占期)를 거치면서 싹 텄고, 1965년
10월 18일부터 20일까지 일본에서 열린 국제침구학회(國際鍼灸學會)에서,
생리에서 병리 진단과 치료까지 망라한 논문 「A Study of Constitution-
1974년에 「Studies on Constitution-Acupuncture Therapy 체질침
치료에 관한 연구」로 체질영양법이 추가적(追加的)으로 공식 발표됨으로써
8체질의학(八體質醫學)의 전(全) 체계(體系)를 완성(完成)하였다.
8체질의학은 뚜렷한 체질감별법인
◐ 체질맥진(體質脈診),
◐ 체질별(體質別), 질환별(疾患別)로 분류된 치료법인 체질침(體質鍼),
◐ 각 체질에게 유익(有益)한 음식과 해(害)로운 음식을 세세하게 분류한
영양법인 체질영양법(體質營養法) 등 특수한 이론체계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의학(New Medicine)이다.
팔의 주관절(主貫節)과 손끝 사이, 그리고 다리의 슬관절과 발끝 사이의
경락(經絡)에서 각(各) 장기간(長期間)의 생기(生氣)의 불균형(不均衡)과
부조화를 계산 조절하여 만병(萬病)을 치료하는 8체질의학(八體質醫學)은
생명 화리를 원리로 하는 생명의학이고, 이론과 초과학(超科學)이 합치된
생명과학이다. 또한 완전한 감별법을 가진 실용의학이다.
민족의학신문과 이강재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이 정보에대한 궁금증은 하단에 있는 메일주소로
직접 문의하시거나 또 다른 정보가 더 보고싶은 회원님은
민족의학신문 "URL"이나 회사 로고를 클릭하세요.
민족의학신문 ; (글쓴이) 이강재 8체질연구회 (what@mjme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저작권문의
WWW.광주중의대.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