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기준인 BMI 25는 사망위험 가장 낮아...
국내 비만 기준을 BMI 25→27 상향해야
[민족의학신문=박숙현 기자]
그동안 국내(國內)에서 비만(肥滿) 기준(基準)이었던 BMI(Body Mass Index=
체질량 지수) 25 이상에서 27로 상향(上向)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정기석) 건강보험연구원은 지난 8일
‘2024년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세계보건기구(WHO)
서태평양지역(西太平洋地域)의 기준(基準)을 따르고 있는
우리나라는 비만(肥滿) 기준인 "체질량지수 (體質量指數= BMI) 25 이상"을
국내 상황에 맞게 최소 '체질량지수 (BMI) 27 이상'으로 상향(上向) 조정해야
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2002~2003년 일반건강검진(一般健康檢診)을 받은 성인(成人)
최대 847만 명을 21년 동안 추적 관찰하여 체질량지수(BMI) 수준별로 사망과
심뇌혈관질환(心腦血管疾患) 발생 위험 정도를 분석한 결과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국민에 적합한 기준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체질량지수(BMI)와 총(總) 사망(all-cause mortality) 간의 연관성(聯關) 분석
결과(結果)에서는 관찰 기간 내 사망자 제외 기준( 1년, 3년, 5년)과 무관하게
공통적으로 현재의 비만 기준인 체질량지수(BMI) 25 구간에서 사망 위험이
가장 낮은 U자 형태를 나타냈다.
관찰(觀察) 시작시점 이후 5년 내 사망자(死亡者)를 제외(除外)한 분석 결과,
체질량지수(BMI) 25 구간에서 사망 위험(危險)이 가장 낮고, 체질량지수(BMI)
18.5 미만과 체질량지수(BMI) 35 이상에서 사망 위험이 가장 높았다.
특히, 체질량지수(BMI) 25 이상에서 사망 위험 증가폭(增加幅)을 살펴보면,
체질량지수(BMI) 29 구간(區間)에서 이전(以前) 구간 대비해 사망(死亡) 위험
증가폭이 2배 커짐을 확인(確認)하였다.
▣ 체질량지수(體質量指數= BMI= Body Mass Index)와
▣ 심뇌혈관질환(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발생 간의 연관성 분석결과에서는 체질량지수(BMI)가 높아질수록 질병 발생
위험이 전반적으로 증가하여 체질량지수(BMI) 25 구간을 비만 기준으로
특정할 근거가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뇌혈관질환(心腦血管疾患) 발생위험은 체질량지수(BMI) 18.5 미만에서
가장 낮고, 이후(以後)에는 전반적(全般的)으로 증가(增加)하여
◈ 고혈압(高血壓)은 체질량지수(BMI) 34 구간( 2.06배),
◈ 당뇨병(糖尿病)은 체질량지수(BMI) 34 구간(2.88배),
◈ 이상지질혈증(異常脂質血症)은 체질량지수(BMI) 33 구간(1.24배),
◈ 심혈관(心血管)은 체질량지수(BMI) 34 구간(1.47배) 및
◈ 뇌혈관질환(腦血管疾患)은 체질량지수(BMI) 34 구간(1.06배)에서
각 질병(疾病)의 발생(發生) 위험(危險)이 가장 높았다.
<하단 도표 참고>
체질량지수(BMI) 25 이상(以上)에서 질병 발생 위험 증가폭을 살펴보면,
◆ 고혈압,
◆ 당뇨병,
◆ 이상지질혈증은 체질량지수(BMI) 27 구간,
◆ 심혈관질환은 체질량지수(BMI) 29 구간,
◆ 뇌혈관질환은 체질량지수(BMI) 31 구간에서
이전(以前) 구간(區間) 대비 질병발생 위험 증가폭이 커짐을 확인하였다.
<하단 도표 참고>
이번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동국대일산병원 오상우 교수는
“20년 전 분석에서는 체질량지수(BMI) 23에서 가장 낮은 사망위험을 보였다.
그러나 그동안 우리의 체형(體型)과 생활습관(生活習慣), 그리고 질병(疾病)의
양상(樣相)이 서구 (西歐)와 닮아가는 변화(變化)를 보였기 때문에 이제는
체질량지수(BMI) 25에서 가장 낮은 사망 위험을 보이는 결과(結果)가 나왔고,
비만(肥滿)과 질병(疾病)의 연관성은 과거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비만(肥滿) 진단(診斷)기준(基準)은 질병과의 연관성(聯關性)을 우선시 하고,
사망(死亡) 자료(資料)를 보조적(補助的)으로 고려해 설정(設定)해야 한다.
이번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지금의 체질량지수 (BMI) 진단 기준을 27로
상향 조정하는 것이 한국인의 적절한 진단기준이라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건강보험연구원 이선미 건강관리연구센터장은
“이번 연구는 비만(肥滿) 기준(基準)과 관련한 건강보험(健康保險) 빅데이터
기반(基盤)의 최대(最大) 규모(規模) 추적(追跡) 관찰(貫徹) 연구(硏究)로,
우리나라 성인의 심뇌혈관질환 발생 및 사망 위험을 동시(同時)에 고려할 때
현행 비만(肥滿) 기준(基準)을 최소 체질량지수 (BMI) 27 이상으로 상향(上向)
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중국(中國)은 이미 체질량지수(BMI) 28 이상(以上)을
비만 기준으로 적용하고 있다”고 설명하며
“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만성질환(慢性疾患) 발생(發生) 및 사망(死亡)
위험성(危險性)이 높은 비만(肥滿) 인구(人口)를 중심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을 추진(推進)할 예정(豫定)”이라고 강조하였다.
171.5cm·75kg이 뚱뚱하다는 한국…
"비만 기준 올리자" 왜?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869074&plink=THUMB&cooper=SBSNEWSPROGRAM
※동영상 시청 방법
<위에있는 "URL"를 클릭하시면 동영상이 나옵니다>
민족의학신문 박숙현 기자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이 정보에대한 궁금증은 하단에 있는 기자님의 메일주소로
직접 문의하시거나 또 다른 정보가 더 보고싶은 회원님은
민족의학신문 "URL"이나 회사 로고를 클릭하세요.
민족의학신문 ; 박숙현 기자 (sh8789@mjmedi.com)
http://www.mjme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저작권문의
WWW.광주중의대.com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샷! 원킬! 4세대 ‘꿈의 암 치료기’(2부) ‘붕소중성자포획치료기’ 국내 첫개발 (0) | 2024.11.20 |
---|---|
원샷! 원킬! 4세대 ‘꿈의 암 치료기’(1부) ‘붕소중성자포획치료기’ 국내 첫개발 (1) | 2024.11.18 |
생명을 위협하는'저혈당 쇼크'와 고혈당 쇼크... 당뇨가 있다면 원인과 증상 알아야 (0) | 2024.11.11 |
엄마의 변을 우유에 섞은 '대변 밀크셰이크'... 그러나 집에서는 절대 따라하면 안돼 (0) | 2024.11.05 |
증상 느꼈을 때는 이미 늦은 "沈默의 臟器"들(下)... 신장(腎臟) 질환이 보내는 경고음은 있다 (1) | 2024.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