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사망자보다 더 많은 항생제 내성 균 사망자...
어떤 항생제도 소용 없는 '슈퍼 세균' 급증
항생제(抗生劑)에 내성(耐性)을 가지고 있어서 '슈퍼 세균(細菌)', '슈퍼(super)
박테리아 (bacteria)'로 불리는 세균 감염(感染)이 급증(急增)하면서 이로 인해
숨지는 환자(患者)도 증가(增加)하고 있다.
16일 국회에서 열린 '항생제 다제내성균(多劑耐性菌) 요로감염(尿路感染)의
효과적 통합 대응 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배성락 의정부 성모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는 항생제(抗生劑)의 무분별(無分別)한 사용과 오용(誤用)
때문에 이 같은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배성락 교수는 "항생제(抗生劑) 사용량(使用量)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會員國)들 중에서 8위를 차지한다"라고 우려(憂慮)했다.
'슈퍼(super) 박테리아(bacteria)'로 불리는 문제의 세균은 카바페넴 계열이며
항생제(抗生劑)가 잘 듣지 않는 장내세균(腸內細菌= CRE)을 말한다.
CRE 감염증(感染症)은 중증(重症) 감염이나 다제내성균(多劑耐性菌) 감염증
치료(治療)에 주로 쓰이는 카바페넴(carbapenem)계 항생제에서 내성(耐性)을
나타내는 세균(細菌)에 의한 감염질환(感染疾患)이다.
의료계는 CRE(장내세균) 감염증 환자 신고(申告) 건수가 2017년 5,717건에서
매년(每年) 증가해 2023년 3만 8,405건으로 5년 새 5.3배 늘었다고 밝혔다.
지난해에도 1~6월에만 2만 5,533건의 신고(申告)가 접수(接受)됐고, 사망자는
5년 사이에 37명에서 633명으로 17.1배가 됐는데. 지난해 상반기 (1~6월)에는
439명이 숨졌다.
카바페넴 계열의 항생제는 지금 쓸 수 있는 마지막 항생제(抗生劑)로 통한다.
이 약(藥)을 썼는데도 듣지 않으면 더 이상은 '쓸 약이 없다'는 뜻과 같다.
특히, 요로감염(尿路感染)이나 신우신염(腎盂腎炎) 등에 걸린 환자(患者)에게
항생제(抗生劑)를 무분별(無分別)하게 사용(使用)하는 것이 문제(問題)다.
요로감염(尿路感染)은 여성(女性)의 약 50%, 남성(男性)의 약 10%에서 평생
한 번 경험(經驗)하는 감염성질환(感染性疾患)이다.
특히, 여성(女性)의 경우 해부학적(解剖學的) 구조(構造) 때문에 요로감염에
더욱 취약(脆弱)해서 환자의 약 25%가 재발을 경험(經驗)하며, 연간 3회 이상
재발하는 '재발성(再發性) 요로감염(尿路感染)'도 흔하다.
우리나라에서 매년 500만명 이상이 요로감염으로 진료(診療)를 받고 있으며,
치료(治療) 시에는 항생제(抗生劑)가 필수적(必須的)이다.
항생제 내성균(耐性菌)이 혈액(血液)에 침범(侵犯)해 전신(全身) 감염 증상을
일으키는 병이 패혈증(敗血症)인 데, 인구 10만명 당 패혈증 사망률(死亡率)이
가장 높은 데는 전북(33.4명)이며, 그 다음은 전남(28.5명)이다.
임동훈 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 회장(조선대 비뇨의학과 교수)은
"전북 (全北)과 전남 (全南) 지역(地域)의 노인(老人) 인구(人口) 비율(比率)이
높은 것이 원인(原因)일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배 교수는 세계보건기구(WHO)의 경고(警告)를 인용(引用)했다.
2050년 세계(世界) 주요(主要) 사망(死網) 원인(原因)을 예측(豫測)해 보니
◈암(癌) 사망자(死亡者)가 820만명,
◈ 항생제(抗生劑) 내성균(耐性菌) 사망자는 1,000만명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배 교수는
"국내(國內)의 항생제(抗生劑) 내성(耐性) 관리(管理) 예산(豫算) 증액(增額)과
임상(臨床) 현장 의견을 반영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라고 촉구했다.
아시아경제 구나리 기자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이 정보에대한 궁금증은 하단에 있는 기자님의 메일주소로
직접 문의하시거나 또 다른 정보가 더 보고싶은 회원님은
아시아경제"URL"을 클릭하세요.
아시아경제 ; 구나리 기자 (forsythia26@asiae.co.kr)
www.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WWW.광주중의대.com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眼), ‘마음의 거울’ 아닌 ‘질병의 거울’? 눈에서 알 수 있는 ‘질병’종류별 ‘증상’ (0) | 2025.02.03 |
---|---|
암(癌)을 잡아내는 전략적 건강검진법... 통제할 수 없다고 운명에 맡겨야만 할까? (0) | 2025.01.21 |
의사들도 말리는 건강검진 항목 '5가지'... "병(病) 찾으려다 암(癌)에 걸려요" (0) | 2025.01.14 |
남성형 탈모 될 지 예측하는 간단한 방법... 손가락 비율로 보는 대머리 예측법 (0) | 2025.01.13 |
여성에 가장 많이 생기는 암(癌) 5가지... 그 중에서도 어떤 암이 가장 나쁠까? (0) | 2025.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