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眼), ‘마음의 거울’ 아닌 ‘질병의 거울’?
눈에서 알 수 있는 ‘질병’ 종류별 ‘증상’
눈(眼)을 ‘마음의 거울’이라고 부른다.
상대방의 눈만 봐도 이 사람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짐작(斟酌)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이외에도 눈을 잘 들여다보면, 상대방이 어떠한 병(病)에 걸렸는지도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눈(眼)을 ‘질병(疾病)의 거울’이라고 부를 수도 있을 것 같다.
호주(濠洲)의 여교사 멜리사(30)는
◈ 갑자기 눈이 흐릿하고(시야 혼탁),
◈ 사물이 겹쳐 보이는(복시) 등의 증상(症狀)을 보여 응급실(應急室)을 찾았다.
멜리사는 사고(事故)를 당하거나 외상(外償)을 입은 적이 없었으며, 이전에 이러한
증상(症狀)을 겪은 적도 없었지만, 몇 달 전부터 한쪽 눈의 시야(視野)가 흐려졌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정상(正常)으로 돌아오곤 했다.
멜리사는 이를 자신의 잦은 PC 작업(作業)에 따른 피로(疲勞) 탓으로 돌렸다.
그런데 돌연 복시(複視) 증상(症狀)까지 나타나자 병원 응급실(應急室)을 찾았다.
그녀는
▣ 시력검사,
▣ 자기공명영상장치(MRI) 촬영,
▣ 뇌척수액 검사,
▣ 유발전위 검사 등을 거쳐서 '다발성경화증(多發性硬化症)' 진단과 함께 치료를
받았다고 호주 비영리매체 ‘더 컨버세이션(The Conversation)’이 소개했다.
미국 건강포털 ‘웹엠디(Web MD)’에 따르면 눈에서 알 수 있는 질병으로는
◆ 다발성경화증(시력저하, 복시 등 증상)과
◆ 당뇨병(당뇨망막병증),
◆ 갑상샘기능항진증(안구돌출증),
◆ 뇌졸중(시야장애 증상),
◆ 강직성척수염(출혈∙통증),
◆ 간∙담도질환(황달),
◆ 루프스∙경동맥협착증(일시적으로 눈앞이 깜깜해지는 일과성 흑암시) 등을
꼽을 수 있다.
또한
◇ 고혈압(혈관이 찌그러지고 망막 이상 증상),
◇ 고콜레스테롤혈증(혈관 내부에 콜레스테롤 침전물 생김),
◇ 죽상동맥경화증(혈관 내부에 찌꺼기인 플라크 형성) 등도
눈(眼)을 통해 발견(發見)할 수 있다.
이들 질병(疾病)의 증상은 사소하거나 느리게 진행돼 환자가 잘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하지만 안과(眼科)에서 검사(檢査)하면 제대로 진단할 수 있다.
호주 매체 ‘더 컨버세이션’에 의하면, 정상(正常) 안압(眼壓) 녹내장(綠內障)은
눈에서 방수(안구액)가 너무 많이 생기거나 반대로 거의 생기지 않는 증상과 관련이
있다. 이 경우 눈 안의 압력이 높아지고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신경섬유가 손실된다.
시야(視野)는 매우 천천히 좁아지므로 눈에 잘 띄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몇 년 뒤
시야가 좁아지는 ‘터널시(Tunnel vision)’가 생길 수 있다.
정상(正常) 안압(眼壓) 녹내장(綠內障)은 다른 녹내장과는 특성(特性)이 다르다.
눈(眼) 안의 압력은 정상으로 유지되지만 신경(神經)이 손상되는 측면에서다.
이 질병(疾病)은 저혈압(低血壓), 수면무호흡증(睡眠無呼吸症)과 관련이 있다.
또한 암(癌) 가운데 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망막모세포종(網膜母細胞腫)이다.
이 암(癌) 세포(細胞)는 폐(肺)와 간(肝)으로도 퍼질 수 있으며, 뚜렷한 증상 없이
진행되는 수가 많기에, 일찍 발견하지 않으면 예후(치료 후 경과)가 썩 좋지 않다.
눈은 별다른 기구나 시술의 도움을 받지 않아도 혈관을 직접 들여다볼 수 있는 곳이다.
전반적인 건강을 살펴볼 수 있는 ‘열린 창’에 해당한다.
뚜렷한 증상이 없더라도, 정기적으로 안과 전문의를 찾아 검사를 받는 게 바람직하다.
뜻밖의 병을 일찍 발견해 조기 치료할 수 있다. ‘만사불여 튼튼’이라는 말도 있다.
다른기사 더 찾아보기
1,"눈 뻑뻑하면 5분씩 '이렇게' 하라!"...안약보다 효과 좋아
2, “안구건조증 환자 이렇게 많았나”... 눈에 가장 나쁜 생활 습관은?
3, 언제나 초롱초롱한 눈...나이 들어서도 시력 지키는 방법은?
4, 젊은 사람도 눈 먼저 늙어간다...막을 방법은?
코메디닷컴 김영섭 기자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이 정보에대한 궁금증은 하단에 있는 기자님의 메일주소로
직접 문의하시거나 또 다른 정보가 더 보고싶은 회원님은
코메디닷컴"URL"이나 회사 로고를 클릭하세요.
코메디닷컴 ; 김영섭 기자 (edwdkim@kormedi.com)
http://www.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AI학습 및 활용 금지
WWW.광주중의대.com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암(肝癌)’ 예방하고 생존율 높이려면... 진단 되면 30%만 수술 가능한 암(癌) (0) | 2025.02.04 |
---|---|
암(癌)을 잡아내는 전략적 건강검진법... 통제할 수 없다고 운명에 맡겨야만 할까? (0) | 2025.01.21 |
암 사망자보다 더 많은 항생제 내성 균 사망자... 어떤 항생제도 소용 없는 '슈퍼 세균' 급증 (0) | 2025.01.19 |
의사들도 말리는 건강검진 항목 '5가지'... "병(病) 찾으려다 암(癌)에 걸려요" (0) | 2025.01.14 |
남성형 탈모 될 지 예측하는 간단한 방법... 손가락 비율로 보는 대머리 예측법 (0) | 2025.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