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세기 조선의 침구 경혈은 어떤 모습일까?
침금동인으로 복원한 내의원 표준경혈
본래 침구의학(鍼灸醫學)은 서적 (書籍)과 경혈도 (經穴圖), 동인 (銅人)의
세(3) 가지 형태(形態)로 전해오고 있었다.
◈ 침구서적은 경혈의 위치를 문자로 기록하는 것이고,
◈ 경혈도는 그림으로 위치를 표시한 것이며,
◈ 동인은 해부학을 바탕으로
인체모형의 정확한 위치(位置)에 경혈(經穴)을 표시하여 기록하는 것이다.
각각의 기록은 장*단점(長*短點)이 있기 때문에 세(3) 가지가 모두 있어야
경혈(經穴)의 위치(位置)를 정확(正確)하게 학습(學習) 할 수 있다.
정밀한 동인(銅人)이 있더라도 침구서적 (鍼灸書籍)의 혈위(穴位) 설명이
없으면 경혈을 취혈(取穴)할 수 없으며, 동인이 없으면 침구서적의 설명이
아무리 정확하다고 하더라도 혈위를 찾을 수 없다.
또 경혈도(經穴圖)가 없으면 동인(銅人)과 침구서적(鍼灸醫學)의 혈위를
한 눈에 구분(區分)하고 정리해서 기억(記憶)하기 어렵다.
지금까지 동의보감(東醫寶鑑) 침구편이나 동의보감(鍼灸經驗方)에서
설명하는 경혈의 위치(位置)를 정확히 해석하기 어려웠던 것은 내의원에서
사용하던 침금동인(鍼金銅人)을 참고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침금동인(鍼金銅人)은 1741년 조선시대 내의원(內醫院)에서 침구경혈의
교육(敎育)과 임상(臨床) 실습(實習)을 위해서 제작(製作)하였으며,
영의정(領議政) 김재로와 조선 최고의 장인인 최천약(崔天若)이 제작한
우리나라의 유일한 동인이다. 현재 일본 (日本)과 중국 (中國)에도 다양한
침구동인(鍼金銅人)이 전해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동인(銅人)들은 개인들이 자신들의 침구학(鍼灸學) 지식을
바탕으로 제작한 것이며 국가의 공인된 검증을 거치지 않은 것들이다.
이에 비하여 침금동인(鍼金銅人)은 제작과정과 당시 참여(參與)한 인원이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에 세밀하게 기록되어 있으며, 내의원의 검증을
거친 것이기 때문에 18세기 조선의 ‘국가표준경혈’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침금동인(鍼金銅人)의 학술적 가치(價値)는 값으로 따질 수 없다.
17~18세기 조선의 침구의학(鍼灸醫學)은 당시 동아시아 최고의 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다. <동의보감 침구편>은 당시 동양(東洋) 3국 중에
가장 발달했던 조선 침구의학의 이론과 임상을 집대성한 보고이다.
또한 침금동인(鍼金銅人)은 현대의학(現代醫學)과 동일(同一)한 수준의
표면해부학(表面解剖學)을 충실하게 표현(表現)하고 있다.
최천약이 1740년에 제작한 사각유척(四角鍮尺)은 당시 도량형 기준으로
현대의 정밀기기로 측정하여도 오차 (誤差)가 거의 없을 정도의 정밀도를
가졌다고 하니 그가 제작(製作)한 침금동인(鍼金銅人)의 경혈(經穴) 역시
상당히 정밀하게 제작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침금동인(鍼金銅人)에는 18세기까지의 조선의 모든 경혈 지식이
함축되어 있어 학술적인 가치는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한의신문 하재규 기자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또 다른 정보가 더 보고싶은 회원님은 하단에 있는
한의신문 "URL"을 클릭하세요.
한의신문 ; 하재규 기자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저작권문의
http://www.akomnews.com/
WWW.광주중의대.com
'한국 한의학, 한의사,한의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락(經絡) 품세 원리와 근원(2) 도가사상(道家思想)과 명상(冥想) 수련 (0) | 2024.03.19 |
---|---|
경락(經絡)품세 원리와 근원(1) 한의학과 중의학 그리고 아유르베다 (3) | 2024.03.18 |
침구교육기관 수료자의 침*뜸 시술 사건... 헌법재판소, 위헌 사건에 각하*기각 결정 (0) | 2024.03.11 |
한의학이 중국에 뿌리를 두고 있지만... "한의학의 유래(由來)"를 파해친다 (0) | 2024.02.20 |
전통 약초와 관련한 재미있는 약초 이야기⑮... 귀신을 쫓아내는 '음나무' (0) | 2024.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