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肝癌)’ 예방하고 생존율 높이려면...
진단 되면 30%만 수술 가능한 암(癌)
뱃속 주요 장기 ‘간(liver)’
간(肝)은 신체(身體) 해독작용(解毒作用)과 함께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등의
영양소(營養素)를 분해(分解)해서 에너지로 만드는 주요 장기(臟器)입니다.
간(肝)의 별칭(別稱)이 ‘인체(人體) 화학공장(化學工場)’인 이유(理由)입니다.
간은 이렇게 중요 역할을 수행하지만 다양한 문제로 절반 이상 손상될 때까지
증상을 보이지 않습니다. 간의 또 다른 별명이 ‘침묵의 장기’인 이유입니다.
간을 부르는 2가지 별칭
인체(人體) 화학공장(化學工場)
침묵(沈默)의 장기(臟器)
다양한 요인으로 간 병들어
간(肝)에도 다양한 요인(要因)의 영향(影響)으로 많은 질환들이 찾아옵니다.
주요 질환은 간염, 지방간, 간경변증(肝硬變症), 간암(肝癌) 등입니다.
이러한 질환(疾患)들의 발병 원인은 간염(肝炎) 바이러스 (Virus)를 비롯해서
과도한 음주(飮酒), 비만(肥滿), 흡연(吸煙), 고지방 식사 등 다양합니다.
간에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
간염(肝炎),
지방간(脂肪肝),
간경변증(肝硬變症),
간암(肝癌)
한국인의 7위 암 ‘간암’
진단 시 30%만 수술 가능
우리나라 부동(不動)의 사망(死亡) 원인(原因) 1위는 암(癌)입니다.
그리고 암 종류(種類) 중에서 ‘간암(肝癌)’도 매년 많은 사람들에게 발생합니다.
가장 최근에 발표된 2022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1년간 28만2,047명의
새로운 암(癌) 환자(患者)가 생겼습니다. 이 중에 간암(肝癌)은 1만4,913명으로,
7위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간암 진단 후에 완치를 기대할 수 있는 치료법은 간 절제 수술과 간이식입니다.
하지만 이 같은 수술적 치료가 가능(可能)한 비율은 약 30%에 그칩니다.
(나머지는 직접 수술(手術)도 불가능 합니다)
수술 이외에 간암 환자에게 적용하는 치료들
◈ 동맥(動脈)에 항암제(抗癌劑)를 넣고 혈관(血管)을 막는 색전술(塞栓術),
◈ 암종(癌種) 크기 2cm 미만일 때 적용하는 고주파(高周波) 치료(治療)
◈ 건강한 사람의 간 일부를 이식(移植)하는 간이식(肝移植) 수술(手術)
◈ 약물(藥物= 항암제),
◈ 방사선(放射線) 치료(治療),
◈ 표적(標的) 항암제,
◈ 면역(免疫) 항암제 치료
환자 60% 5년 내 사망
간암 예방 & 생존율 높이기
2022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간암(肝癌)의 5년 생존율은 39.4%입니다.
전체 암(癌) 평균인 72.9%의 절반 수준에 그칩니다. 간암 환자 10명 중 6명이
간암 진단(診斷) 후(後) 5년 내에 사망(死亡)하는 것입니다.
이처럼 생존율(生存率)이 낮은 간암(肝癌)을 예방(豫防)하고, 진단(診斷) 시에
생존율을 높이는 최선의 방법은 ‘정기(定期) 검진(檢診)’입니다.
특히 간(肝) 질환 고위험군(高危險郡)은 6개월에 한 번씩 ‘혈액(血液) 검사’와
‘간 초음파(超音波) 검사’가 필수입니다.
간암 고위험군
▣ 40세(歲) 이상
▣ B형/C형 간염(肝炎) 환자(患者)
▣ 간경변증(肝硬變症)
▣ 지방간(脂肪肝)
▣ 잦은 음주(飮酒)와 흡연(吸煙)
▣ 간암(肝癌) 가족력(家族歷)
[Check!] 술 안 마시면 간 건강하다?
술(酒)을 전혀 마시지 않는 비(非) 알콜(alcohol) 성(性) 간(肝) 질환(疾患)과
이에 따른 간암(肝癌) 환자도 점차 늘고 있습니다. 특히 비알코올성 간 질환은
비만(肥滿)을 중심으로 한 대사증후군(代謝症候群)이 주요 원인(原因)입니다.
비만이 간암 일으키는 과정
① 비만(肥滿) 등 대사증후군(代謝症候群)으로 지방간(脂肪肝) 발생(發生)
② 지방간염(脂肪肝炎)으로 이어지면 간경변증(肝硬變症)으로 진행(進行)
③ 결국 증상(症狀)이 점차 악화(惡化)하면서 간암(肝癌)까지 유발(誘發)
stamp
늦게 진단받아서 간 절제술(切除術)이 불가능(不可能)한 간암(肝癌) 환자들의
유일(唯一)한 치료법(治療法)은 ‘간이식(肝移植) 수술(手術)’입니다.
간이식(肝移植) 수술(手術) 계획이 잡히면 음주와 흡연은 금기(禁忌)입니다.
간 건강에 좋다고 잘못 알려진 민간요법(民間療法)도 중단(中斷)합니다.
특히, 고른 식단(食單)으로 환자의 영양 상태를 끌어올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힐팁 오하늘 기자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또 다른 정보가 더 보고싶은 회원님은 하단에 있는
힐팁 "URL"을 클릭하세요.
힐팁 ; 오하늘 기자
취재 도움 ; 경희대병원 간·담도·췌장외과 김범수 교수
힐팁(http://www.healtip.co.kr)
저작권자 © 힐팁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WWW.광주중의대.com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눈(眼), ‘마음의 거울’ 아닌 ‘질병의 거울’? 눈에서 알 수 있는 ‘질병’종류별 ‘증상’ (0) | 2025.02.03 |
---|---|
암(癌)을 잡아내는 전략적 건강검진법... 통제할 수 없다고 운명에 맡겨야만 할까? (0) | 2025.01.21 |
암 사망자보다 더 많은 항생제 내성 균 사망자... 어떤 항생제도 소용 없는 '슈퍼 세균' 급증 (0) | 2025.01.19 |
의사들도 말리는 건강검진 항목 '5가지'... "병(病) 찾으려다 암(癌)에 걸려요" (0) | 2025.01.14 |
남성형 탈모 될 지 예측하는 간단한 방법... 손가락 비율로 보는 대머리 예측법 (0) | 2025.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