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상식

술 마시면 시간별로 뇌와 몸이 어떻게 될까?... 금주하면 한달 후 나타나는 놀라운 변화

728x90

술 마시면 시간별로 뇌와 몸이 어떻게 될까?...

금주하면 한달 후 나타나는 놀라운 변화

 

연말(年末)이 다가오면 ‘술(酒) 약속(約束)’이 많아지기 마련이다.

연말마다 잦은 음주 (飮酒)로 인해 건강이 안 좋아지면 ‘새해에는

끊어야지’라고 결심하지만, 이 약속은 오래가지 않는다.

 

이렇게 매일(每日) 같이 마시던 술(酒)을 끊으면 어떻게 될까?.

전문가(專門家)는 술을 끊는 즉시 우리 몸에서 긍정적(肯定的)인

변화(變化)들이 나타난다고 조언(助言)한다.

 

영국 매체 ‘데일리 메일’은 금주(禁酒)를 권(勸)하며 한 달간 술을

마시지 않으면 우리 몸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보도했다.

 

데일리 메일은

“술을 끊으면 한 달 안에 피가 맑아지고 소화기 (消化器) 건강이

증진(增進)되며 면역력(免疫力)이 증가하는 등 건강이 즉각적으로

좋아진다”고 보도(報道)했다.

 

만취(滿醉)하지 않고 적당히 술을 마셔도 알코올(alcohol) 성분이

위(胃)와 장(腸)으로 흘러와 혈류(血流)에 흡수(吸收)된다.

 

만취 상태에 이르면 혈관이 크게 수축해 혈압(血壓)이 상승한다.

이 과정에서 도파민(dopamine) 분비가 촉진되며, 감정의 변화가

생기지만 이와 동시에 알코올이 뇌 화학 물질인 글루타메이트를

억제해 뇌세포 간의 소통을 방해해 생각과 감정을 둔화시킨다.

 

이 때문에 술을 마시면 자극(刺戟)에 둔감(鈍感)해지는 것이다.

 

알코올(alcohol) 은 혈류(血流)를 통해 간(肝)으로 이동(移動)하며

조금씩 분해(分解)되기 시작(始作)해 혈관(血管)이 확장(擴張)되고

혈압(血壓)이 크게 떨어진다.

 

혈압(血壓)이 내려가는 만큼 뇌세포(腦細胞) 간 소통이 원활해져

머리가 맑아지는 느낌이 든다.

 

술을 마신 이후 한 시간 정도 지나면 차츰 술(酒)이 깨기 시작하며

4~8시간 후에는 졸음이 몰려온다.

 

하지만 잠을 푹 잘수 있는 것은 아니다.

알코올이 뇌의 각성 호르몬을 자극해 수면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실제 음주가 수면의 질을 24% 감소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술을 마신지 12시간이 지나면 알코올(alcohol)은 혈류(血流)에서

완전히 빠져나간다.

 

도파민(dopamine)의 수준도 정상(正常)으로 돌아오면서 약간의

슬픈 감정(感情)을 유발할 수 있는데, 알코올 의존증이 있는 사람은 이

러한 감정 변화로 인해 더 심한 금단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술을 마신지 10일이 지나면 혈류와 신장(腎腸)은 물론 도파민과

세로토닌 수준이 정상 수치로 돌아오고 몸에 활력이 늘어난다.

 

음주(飮酒)한 지 2주(週) 정도가 지나면 피부에 수분이 늘어나며

피부가 좋아지며 한 달 후에는 당뇨병, 간경화 등 만성질환 위험이

격급히 낮아지는 등 건강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기사 더 찾아보기

1, 적당한 음주가 건강에 도움된다?… “하루 2~3잔도 사망 위험 높여”

2, 한두잔은 건강에 좋다? 10명 중 7명이나 모르는 ‘술’의 진실

 

 

조선일보 황규락 기자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또 다른 정보가 더 보고싶은 회원님은 하단에 있는

조선일보 "URL"을 클릭하세요.

조선일보 ; 황규락 기자

https://www.chosun.com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WWW.광주중의대.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