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상식

신체 부위별 둘레와 관련해 주의해야 할 질환들... 집에서도 초 간단 건강검진이 가능

728x90

신체 부위별 둘레와 관련해 주의해야 할 질환들...

집에서도 초 간단 건강검진이 가능

 

집에서도 건강검진(健康檢診)을 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方法)이 있다.

바로 각(各) 신체(身體) 부위(部位)의 둘레를 재는 것이다.

 

둘레는 건강(健康)을 예측(豫測)하는 중요(重要) 척도(尺度)가 될 수 있다.

신체 부위별 둘레와 관련해 주의해야 할 질환들을 알아본다.

 

목둘레 3cm씩 증가할수록…

혈당 올라가고, HDL 낮아져

목이 굵어질 정도로 살이 찐 상태라면 심장병(心臟病)에 주의해야 한다.

 

미국(美國) 심장학회(AHA)가 남녀 3,300여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목둘레가 3cm 증가(增加)할수록 고밀도 콜레스테롤(HDL)의 수치가

◈ 남성의 경우 2.2mg/dL,

◈ 여성의 경우 2.7mg/dL씩 줄었다.

 

고밀도(高密度) 콜레스테롤(cholesterol)은 일명 '좋은 콜레스테롤'로

혈관(血管)을 청소(淸掃)하는 역할을 한다.

 

당(糖) 수치(數値)의 경우에는

▣ 남성은 3.0mg/dL,

▣ 여성은 2.1mg/dL씩 증가했다.

 

문제는 고밀도 콜레스테롤(HDL=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

수치(數値)가 낮으면 심혈관(心血管) 질환(疾患)의 위험(危險)이 커지고,

혈당(血糖)이 높으면 혈관 벽(壁)이 손상돼 동맥경화증(動脈硬化症)에

걸릴 가능성(可能性)이 커진다.

 

이와 유사한 국내 연구 결과도 있다.

남녀 292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목둘레의 수치가 가장 큰 그룹은

가장 작은 그룹에 비해 심혈관 질환의 위험도를 보여주는 인슐린 저항성

지표가 남성의 경우 29.2배, 여성의 경우 51배 높았다.

 

연구팀이 제시한 목둘레 비만(肥滿) 기준은 남자 36.6cm, 여자 32.3cm다.

목둘레를 줄이고 싶다면 체중(體重) 감량(減量)이 필수적이다.

 

근감소증 환자 대부분, 종아리 둘레 32cm 미만

종아리 둘레는 근감소증(筋減少症)을 예측(豫測)하는 기준(基準)이다.

 

특히, 노인(老人)의 경우는 종아리 둘레에 신경(神經)을 쓸 필요가 있다.

근감소증(筋減少症)은 노인에게서 주로 나타나는 질환으로 근육(筋肉)의

양(量)과 기능(機能) 감소(減少)와 관련(關聯)된 질환이기 때문이다.

 

실제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연구팀에 따르면, 전신 근육량(筋肉量)은

종아리 둘레와 비례(比例)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근감소증 환자의 82%는 종아리 둘레가 32cm 미만(未滿)이었다.

연구팀은 키나 성별(性別)과 관련 없이 65세 이상에서는 종아리 둘레가

32cm 미만인 사람은 근감소증을 의심(疑心)해 볼 것을 권장했다.

 

근감소증(筋減少症)은 낙상(落傷)과 골절(骨折) 등을 유발해 사망(死亡)

위험(危險)을 2~5배 높이는 위험한 질환(疾患)이다.

 

자신(自身)의 종아리 근육량(筋肉量)은 스스로 확인(確認)하기가 어렵다.

종아리 둘레는 이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지표가 될 수 있다.

 

종아리 근육(筋肉)이 부족(不足)하다면, 꾸준한 운동과 단백질(蛋白質)

식품(食品) 섭취(攝取)를 통해 근육을 늘려야 한다.

 

허벅지 둘레,

1cm 줄 때마다 당뇨병 위험 증가해

가느다란 허벅지는 건강(健康)의 적신호(赤信號)다.

 

연세대 보건대학원 연구팀이 30~79세 성인 남녀 약 32만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허벅지 둘레가 1cm 줄어들 때마다 당뇨병(糖尿病) 위험이

남성의 경우 8.3%, 여성의 경우 9.6%씩 증가했다.

 

특히 남성(男性)은 허벅지 둘레가 60cm 이상이면 43cm 미만(未滿)인

사람에 비해 당뇨병(糖尿病) 위험이 4배 낮았으며,

 

여성(女性)은 허벅지 둘레가 57cm 이상이면 43cm 미만인 사람에 비해

당뇨병(糖尿病) 위험(危險)이 5.4배 낮았다.

 

비슷한 체격(體格)이면 허벅지가 가늘수록 당뇨병 발병 위험이 높았다.

당뇨병은 실명(失明) 위험이 있는 망막병증, 신경병증, 심혈관계 질환 등

여러 치명적(致命的)인 합병증(合倂症)을 유발(誘發)할 수 있다.

 

허벅지는 전체(全體) 근육(筋肉)의 3분의 2 이상(以上)이 모여 있다.

섭취한 포도당(葡萄糖)의 절반 이상을 소모(消耗)하는 부위이기도 하다.

 

평소 허벅지 근육을 키우면 전체(全體) 근육량(筋肉量)을 늘릴 수 있고,

식후(食後) 혈당(血糖)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평소 스쿼트와 같은 허벅지 단련 운동과 계단 오르기를 습관화하면 좋다.

 

 

헬스조선 이채리 기자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또 다른 정보가 더 보고싶은 회원님은 하단에있는

조선일보 회사 "URL"을 클릭하세요.

 

조선일보 ; 이채리 핼스조선 기자

Copytight HEALTHCHOSUN.COM

http://health.chosun.com/

 

 

 

WWW.광주중의대.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