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한의학, 한의사,한의대

체간측정법에 의한 체질진단이란?(3부) 사상인 체간과 동의수세보원 용어

728x90

체간측정법에 의한 체질진단이란?(3부)

사상인 체간과 동의수세보원 용어

 

 

인체(人體)는 각 체질(體質)별로 고유(固有)의 체형(體形)을 갖고 있습니다.

체간측정법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의 장부론(臟腑論)을 근거(根據)로

체간에서 다섯(5) 개의 직선거리를 측정하여 체질을 판별하는 방법입니다.

 

체간측정법(體間測定法)을 통한 체질(體質) 판별의 간편함과 체질 판별법에

따른 치료 효과의 우수성은 수백명의 임상의들에 의해서 이미 증명되었으며,

임상집(臨狀輯)으로도 출판되어 대단한 반향을 불러일으킨 바 있습니다.

 

체질을 감별하는 방법

첫째

먼저 각 사람의 체형(體形)을 5개 기준선(基準線)의 가로 길이를 자로 재서

그 길이 간의 비율(比率)을 비교(比較)하여 감별(鑑別)합니다.

 

둘째

각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성격상의 특징을 고려해 좀 더 자세히 감별합니다.

 

셋째

복부(腹部)와 흉부(胸部)에 있는 12개의 지점을 손으로 눌러서 통증(痛症)이

있는 것을 확인 (確認)하는 작업을 통해서 이병(裏病)인지, 표병(表病) 인지를

판별(判別)합니다.

(단, 복진(腹診) 상 압통(壓痛)이 많을 수록 이병(裏病)의 가능성이 많으나

기타 문진(問診) 내용과 함께 전체적으로 파악해서 결정해야 합니다.)

 

넷째

각 사람의 체력이 강한지 약한지를 따져 기운을 보태주어야 하는 사람인지

기운(氣運)을 뚫어 주어야 하는 사람인지를 감별합니다.

(구설진(口舌診), 문진(問診), 복진(腹診)의 내용(內容)을 포괄적(包括的)으로

판단(判斷)하여 병증(病症)의 허실(虛實)을 판단합니다.)

 

다섯째

현재 갖고있는 병증의 세부 분석을 통해 좀 더 정확한 처방(處方)을 찾습니다.

 

이렇게 해서 환자(患者)의 병(病)을 진찰(診察)하는데 있어서

1. 체질감별(體質鑑別),

2, 표리한열(表裏寒熱),

3. 허실(虛實),

4, 변증(辨證)을 통한 처방(處方) 결정 등의

네(4) 단계를 통해 체질(體質)에 맞는 처방을 결정(決定)하게 됩니다.

 

민족의학신문 자료담당자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이 정보에대한 궁금증은 하단에 있는 기자님의 메일주소로

직접 문의하시거나 또 다른 정보가 더 보고싶은 회원님은

민족의학신문 "URL"이나 회사 로고를 클릭하세요.

민족의학신문 ; 자료담당자

(글쓴이) ; 허만회 체형사상학회 고문

장영주 체형사상학회장

http://www.mjme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저작권문의

 

 

WWW.광주중의대.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