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한의학, 한의사,한의대

(149)
사독약침(蛇毒藥鍼)의 기원과 효능(3부) 사독은 전통적인 독사류 약재에서 기원 사독약침(蛇毒藥鍼)의 기원과 효능(3부)사독은 전통적인 독사류 약재에서 기원  사독(蛇毒)은 전통적인 독사류 약재에서 기원현재 한의계(韓醫界)에 쓰는 사독약침(蛇毒藥鍼)으로는 ◈ 안경사(眼鏡蛇=코브라)를 기반(基盤)으로 한 신경독(神經毒)과 ◈ 살모사(殺母蛇)를 기반으로 하는 용혈독(溶血毒) 두 가지가 있다.  안경사(眼鏡蛇=코브라)에서 기반(基盤)하는 경우 안전성(安全性)을 높이기 위해서 기타 용혈독소 등을 제거하고 신경성독(CTX)만을 정제 분리하여 쓰기도 한다.  고전(古典) 문헌(文獻)에 의하면 신경성독(神經性毒)을 지닌 안경사(眼鏡蛇)나 용혈성독(溶血性毒)을 지닌 살모사(殺母蛇) 효능(效能)을 거풍(祛風), 통락(通絡), 지경(止痙)을 모두 같은 범주(範疇)로 설명(說明)하고 있다.  위에서 언..
사독약침(蛇毒藥鍼)의 기원과 효능(2부) 독사 치침 주사요법으로 난치병 치료 사독약침(蛇毒藥鍼)의 기원과 효능(2부)독사 치침 주사요법으로 난치병 치료  안경사독(眼鏡蛇毒=코브라 독), 통증 외에도 다양한 신경계에 증상 활용 가능한의계(韓醫界)에서 뱀독(蛇毒)을 따로 취해 치료에 적용한 것은 최근의 일이다. 근대에 활동한 한의사 김일훈(1909~ 1992)은 『신약(神藥)』-김일훈 구술/김윤세 저, 인산가, 1986-에서 독사가 환자를 직접 물게 하는 방법의 ‘독사(毒蛇) 치침(齒鍼) 주사 요법(注射療法)’으로 폐암(肺癌) 등의 난치병(難治病)을 치료(治療)하는 임상사례(臨牀事例)를 소개하면서,  신경성(神經性) 독(毒)을 지닌 까치독사가 일반 독사에 비해 약효가 훨씬 뛰어나다는 설명(說明)을 덧붙이고 있다.  최근(2013년)에는 신광호 원장이 개별적으로 사독(蛇毒)을 치료제(..
사독약침(蛇毒藥鍼)의 기원과 효능(1부) 거풍(祛風), 통락(通絡), 지경(止痙) 사독약침(蛇毒藥鍼)의 기원과 효능(1부)거풍(祛風), 통락(通絡), 지경(止痙)  2025년 을사년(乙巳年), 뱀(巳= 蛇)의 해(年)가 떠올랐다. 최근 한의계(韓醫界)에 뱀독 기반의 사독약침(蛇毒藥鍼)을 다양한 난치성(難治性) 질환(疾患)에 쓰는 경우가 있는 데, 뱀의 해를 맞아 이에 대한 기원(起源)과 그 효능을 알아보고자 한다. 뱀 관련 최초의 약재는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수재된 뱀의 허물인 사태(蛇蛻)다. 그 후 ◈ 복사(蝮蛇=살모사)와 사담(蛇膽)이 명의별록(名醫別錄)에, 또 ◈ 백화사(白花蛇)와 오사(烏蛇)가 당나라 개보본초(開寶本草)에 등재되고, ◈ 명대(明代) 이시진(李時珍)의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총(總) 17종(種)의 뱀(蛇)이 약재(藥材)로 수록(收錄)된다.  이 중에는 백화사(..
체간측정법에 의한 체질진단이란?(4부) 윤척 사용법과 5가지 체간측정선 체간측정법에 의한 체질진단이란?(4부)윤척 사용법과 5가지 체간측정선  체간측정자(=윤척) 사용법윤척(輪尺= 체간측정자) 사용시에 양 손의 모양을 잘 보아 주시기 바랍니다. 윤척의 좌측(左側), 즉 왼손에서 엄지 손가락은 윤척의 최하단 윗쪽에 위치해 보이지는 않지만 둘째 손가락은 윤척 좌측 최하단을 받치고 있습니다.  세번째 손가락은 윤척(輪尺) 좌측 최하단 내측에 접촉해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윤척 최하단의 모양에 맞게 세째 손가락을 구부려 측정(測定) 할때는 체간(體間)의 근육(筋肉)을 누르지 않게 조심하고 있습니다.  자, 이제는 윤척의 우측(右側)을 보기로 합시다. 우측 손은 윤척 우측 최상단(最上端)을 우선적으로 보고 확인하시면 됩니다.  엄지손가락은 윤척(체간측정자) 우측에서 내측을 밀듯이..
체간측정법에 의한 체질진단이란?(3부) 사상인 체간과 동의수세보원 용어 체간측정법에 의한 체질진단이란?(3부)사상인 체간과 동의수세보원 용어  인체(人體)는 각 체질(體質)별로 고유(固有)의 체형(體形)을 갖고 있습니다.체간측정법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의 장부론(臟腑論)을 근거(根據)로 체간에서 다섯(5) 개의 직선거리를 측정하여 체질을 판별하는 방법입니다.  체간측정법(體間測定法)을 통한 체질(體質) 판별의 간편함과 체질 판별법에 따른 치료 효과의 우수성은 수백명의 임상의들에 의해서 이미 증명되었으며, 임상집(臨狀輯)으로도 출판되어 대단한 반향을 불러일으킨 바 있습니다. 체질을 감별하는 방법첫째 먼저 각 사람의 체형(體形)을 5개 기준선(基準線)의 가로 길이를 자로 재서 그 길이 간의 비율(比率)을 비교(比較)하여 감별(鑑別)합니다. 둘째 각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성..
기혈 막히고 근육 굳어지면 만성통증 발생... 통증 유발 부위 ‘아시혈’, 한의 치료법 기혈 막히고 근육 굳어지면 만성통증 발생...통증 유발 부위 ‘아시혈’, 한의 치료법 [한의신문= 강준혁 기자]한의학(韓醫鶴)에서 아시혈(阿是穴)이란 환자(患者)의 통증(痛症) 부위(部位)를 눌렀을 때 더욱 민감(敏感)하게 느끼는 부위를 말한다.  특정(特定) 신체(身體) 부위로 가는 기혈(氣穴)이 원활(圓滑)하게 순환(循環)되지 못하면서 그 부위에 근육(筋肉)이 수축(收縮)하고 굳어지면서 통증이 시작된다.  기혈(氣穴)의 순환(循環)을 해결(解決)하지 못하고 방치(放置)하게 되면 ◈ 근육(筋育), ◈ 관절(關節), ◈ 신경(神經)까지 주변으로 통증이 커지고 만성통증(慢性痛症)으로 발전하게 된다.  강동경희대학교한방병원 한방내과 박성욱 교수(敎授)와 함께 만성통증(慢性痛症)과 통증(痛症)의 숨은 원인(原..
12경락(經絡)과 신체 조절하는 통로(6부)... 심(심장)경과 신(신장)경의 역활과 효능 12경락(經絡)과 신체 조절하는 통로(6부)...심(심장)경과 신(신장)경의 역활과 효능  경락(經絡= meridian system)이란 전신(全身)의 기혈(氣血)을 운행하면서 신체(身體)의 각 부분(部分)을 조절(調節)하는 통로(通路)이다.  그래서 이 부분을 침(鍼)이나 지압(指壓), 경혈(經穴) 자극운동(刺戟運動)을 하게 되면 혈행개선(血行改善)의 효과(效果)를 보게 된다. 우리몸(= 身體)에는 크게 12개의 경락(經絡= meridian system)이 존재하고 그 12개는 2개 씩 쌍(雙)을 이루어 6개쌍 존재(存在)한다. 우리의 팔(Arm)에는 총 6개 경락(經絡)이 흐르고 안쪽은 음(陰)의 경락 3개 바깥쪽은 양(陽)의 경락(meridian system) 3개가 흐른다. 우리의 다리(Leg)에..
12경락(經絡)과 신체 조절하는 통로(5부)... 폐경과 심포경의 역활과 효능 12경락(經絡)과 신체 조절하는 통로(5부)...폐경과 심포경의 역활과 효능  경락(經絡= meridian system)이란 전신(全身)의 기혈(氣血)을 운행하면서 신체(身體)의 각 부분(部分)을 조절(調節)하는 통로(通路)이다.  그래서 이 부분을 침(鍼)이나 지압(指壓), 경혈(經穴) 자극운동(刺戟運動)을 하게 되면 혈행개선(血行改善)의 효과(效果)를 보게 된다. 우리몸(= 身體)에는 크게 12개의 경락(經絡= meridian system)이 존재하고 그 12개는 2개 씩 쌍(雙)을 이루어 6개쌍 존재(存在)한다. 우리의 팔(Arm)에는 총 6개 경락(經絡)이 흐르고 안쪽은 음(陰)의 경락 3개 바깥쪽은 양(陽)의 경락(meridian system) 3개가 흐른다. 우리의 다리(Leg)에도 마찬가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