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한의학, 한의사,한의대

(149)
한의학의 설진(舌診) 과학적으로 입증... 혀(舌)의 색깔, 모양, 두께로 질병 확인 한의학의 설진(舌診) 과학적으로 입증...혀(舌)의 색깔, 모양, 두께로 질병 확인컴퓨터 이용해 혓바닥 색깔로 각종 병 진단 성공 컴퓨터 앞에서 입 벌리고 목소리 내면 진단 완료  컴퓨터(computer)로 혓바닥 색깔(色)을 분석(分析)해 당뇨병(糖尿病) 등 각종 질병(疾病)을 진단(診斷)할 수 있다는 연구(硏究) 결과(結果)가 나왔다.  ◈ 호주(濠洲= Australia)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대학교(UniSA) 공과대학, ◈ 이라크(Iraq) 미들테크니컬대학교(MTU) 공동 연구팀은 컴퓨터 알고리즘(algorism)으로 혓바닥 색깔을 분석해 98%의 정확도(正確度)로 각종 질병(疾病)을 예측(豫測)하는 데 성공(成功)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에 의하면 이번에 개발(開發)한 이미징 시스템(imaging s..
전(全) 세계 의사들 침(鍼) 배우러 한국 온다?! 침 치료 역할과 나아갈 방향 발표 예정 전(全) 세계 의사들 침(鍼) 배우러 한국 온다?!침 치료 역할과 나아갈 방향 발표 예정  [민족의학신문=박숙현기자]대한한의학회(회장 최도영)가 주최하는 ‘제37회 ICMART 국제학술대회(ICMART 2024)’가 오는 9월 27~29일, 제주신화월드 랜딩컨벤션센터에서 개최(開催), 전(全) 세계(世界) 통합의학 전문가들이 침술(鍼術)을 비롯한 통합의학(統合醫學)의 미래에 대한 혁신적인 발전을 논의할 예정이다. ICMART(국제침술협의회= International Council of Medical Acupuncture and Related Techniques)는 1983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창립 (創立)됐으며,  과학적(科學的)으로 규명(糾明)된 침(鍼) 치료(治療) 연구(硏究)를 바탕으로 임상(臨牀)..
대법원, 한의사의 현대 의료기기 사용은 합법... 이를 폄훼하는 세력에 대해서는 법적 조치 대법원, 한의사의 현대 의료기기 사용은 합법...이를 폄훼하는 세력에 대해서는 법적 조치  [민족의학신문=박숙현 기자] 대한한의사협회(한의협= 회장 윤성찬)는 보도(報道) 자료(資料)를 통해서 한의사(韓醫師)의 미용의료기기(美容醫療機器) 사용은 합법적(合法的)이며, 이를 폄훼(貶毁)하는 세력(勢力)에 대해 법적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한의협(韓醫協= 대한한의사협회)은 “아직 개원(開院) 하지도 않은 한의원(韓醫院)에 대해, 양의사(洋醫師)들이 조직적이고 집단적으로 조롱(嘲弄)과 비하(卑下)와 폄훼 (貶毁)를 쏟아붓고, 심지어는 민원(民願)까지 제기(提起)하는 상황(狀況)에 이르렀다. 양의사(洋醫師)들이 개원하지도 않은 한의원을 비방(誹謗)하고 조직적으로 댓글 테러 (terror)를 한 이유로는, 해당 ..
"2024 자생 메디컬아카데미 인턴십" 개최... 미국 의대와 UAE 의대 학생들 한의학 체험 "2024 자생 메디컬아카데미 인턴십" 개최...미국 의대와 UAE 의대 학생들 한의학 체험  [민족의학신문=김춘호 기자] 자생한방병원(병원장 이진호)이 해외(海外) 의대생(醫大生)을 대상으로 한‘2024 자생메디컬아카데미 인턴십(internship)’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해당 인턴십은 참가자(參加者)들이 한의학에 대하여 이해와 배움을 넓히고 이를 글로벌(global) 통합의학분야(統合醫學分野)에 접목(接木)시키기 위한 한의학(韓醫學) 임상(臨狀) 연수(硏修) 프로그램(program)caritas이다.  이번 인턴십(internship)의 슬로건(slogan)도 해당 목적(目的)에 부합하는 ‘한국의 자생한방병원에서 의학적 안목을 넓히세요(Broaden your Medical perspective wit..
실존 인물 유이태와 허준의 스승 유이태의 진실... 유이태를 名醫로 만든 거창의 바위들 실존 인물 유이태와 허준의 스승 유이태의 진실...유이태를 名醫로 만든 거창의 바위들 [한의신문=강현구 기자] 지난 20일 TV조선 채널을 통해서 방송(放送)된 다큐멘터리(documentary) ‘박종인의 땅의 역사-경남 거창 편’에서는 거창군 위천면 서마리에서 출생한 조선(朝鮮) 후기 명의(名醫) 유이태(1652~1715) 선생의 삶이 조명됐다. ‘땅의 역사’는 박종인 여행문화 전문기자를 통해서 땅에 남아 있는 역사의 흔적을 파헤쳐 기존 관점을 깨뜨리고, 우리가 몰랐던 역사를 조명해 보고자 기획된 스토리텔링(Storytelling) 프로그램(program)이다. 박종인 기자는 서두(序頭)에서 “경상남도 거창군은 먼 옛날 '가야', '신라', '백제'의 접경(接境) 지역에 있어 전략적인 요충지로 많은 전..
변증론치(辨證論治)의 한의학 교육(3부) 임상 현장의 증례 통한 변증 이뤄져야... 변증론치(辨證論治)의 한의학 교육(3부)임상 현장의 증례 통한 변증 이뤄져야...   침(鍼) 처방(處方)을 위한 진단(診斷)에 다양(多樣)한 방법(方法)이 있는 데 ‘일본(日本) 침구(鍼灸)의 진단학(診斷學)’이라는 책(冊)에서는 사진(四診)의 중요성(重要性)을 강조(强調)하고 있으며,  흥미로운 것은 변증(辨證)을 하나로 하지 않고, 가령 ◈ 측두통(側頭痛), ◈ 구고(口苦), ◈ 인건(咽乾) 등의 증상(症狀)이 있을 때  ▣ 장부변증(臟腑辨證)으로 간담병증(肝膽病症), ▣ 육경병증(六經辨證)으로는 소양경병증(少陽經病症) 등으로 자유스럽게 적어 놓았던 것을 봤다.  중의사(中醫師)인 동생의 이야기에 의하면 중국(中國)의 경우는 지나치게 장부변증(臟腑辨證)에 집착(執着)한 나머지 마치 구구단(九九段)을..
변증론치(辨證論治)의 한의학 교육(2부) 한의대 변증 실습의 표준화 필요 변증론치(辨證論治)의 한의학 교육(2부)한의대 변증 실습의 표준화 필요  “한의대 변증 실습의 표준화 필요”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는 어떻게 임상(臨床) 실습(實習)을 할 것인가?현재(現在) 변증(辨證)으로 표준화(標準化)된 것은 팔강(八綱)에 대한 임상진료지침(책임개발자/ 지규용 교수)이 있어 한의약진흥원(韓醫藥振興院) 국가임상정보포털에서 다운로드(download)해서 볼 수 있다.  또 한방병리학(韓方病理學) 교과서(敎科書)가 변증(辨證)에 대해 자세히 다루고 있으며, 2018년 이후 국제질병분류(ICD-11)를 따라서 수록(收錄)한 교재(敎材)로는 ‘한의진단학(韓方診斷學), 진단편(診斷篇)’이 있다.  최근 중의약(中醫藥) 명의(名醫)로 알려진 이들의 책에서 고혈압(高血壓) 환자(患者)를 진찰(診察)하..
변증론치(辨證論治)의 한의학 교육(1부) 한의대 교과서 70~80년대 중의학 내용 변증론치(辨證論治)의 한의학 교육(1부)한의대 교과서 70~80년대 중의학 내용  우리나라 한의과대학(韓醫科大學) 교과서를 보면 대부분이 70~80년대(代) 중의학(中醫學) 내용을 그대로, 혹은 변역해 들어온 것이 그대로 남아 있는데 여기서는 변증론치(辨證論治)가 주류(主流)를 이루고 있다. 한때 한방내과학(韓方內科學) 책을 보면 ◈ 어떤 책은 동의보감(東醫寶鑑) 분류(分流), ◈ 어떤 책은 의학입문(醫學入門) 분류, ◈ 어떤 책은 중의변증(中醫辨證) 분류로 나열(羅列)돼 있었고, 심한 경우 이 3가지가 모두 게재(揭載)된 경우도 있었다. 그당시 공부를 하면서 단순하게 ‘국내 교수진이 정(定)해주시면 안 되는가’, ‘가령 복통이라면 허복통 (虛腹痛)과 실복통(實腹痛) 등 3~ 4개를 예시하고, 각각의 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