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상식

괴롭고 슬픈 기억만 선택적으로 지워주는 ‘족집게’ 의술 현실화

728x90

괴롭고 슬픈 기억만 선택적으로 지워주는

‘족집게’ 의술(醫術) 현실화...

슬프거나 괴로운 기억만을 선택적으로 지우는 (selectively erase sad
and agonizing memories) 기술은 공상 과학소설에나 나오는(be limited
to the realm of science fiction) 꿈같은 것일까.
 
미국 조지아대 조 치엔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research team headed
by  Dr. Joe Tsien)이 생물학 학술지 ‘셀 프레스 (Cell Press)’에 발표한
바에 따르면 ‘목표 기억(記憶) 제거(targeted memory erasure)’라는
새 기술이 발견돼 인간을 기억의 고통에서 해방(liberate human beings
from memory afflictions) 시켜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기술은 쥐 실험에서 성공을 거둔 상태로서 아직은 초보적 단계에 있다
(be at a very early stage).
하지만 언젠가 인간의 뇌에도 활용돼(be applied one day to human
brain) 다른 모든 기억들은 온전히 남겨둔 채(leave all other memories
unaffected) 아픈 기억이나 뿌리 깊은 공포심(恐怖心) 등만 제거해주게
(erase only traumatic memories or deep-set fears) 될 것이다.
 
기억(記憶)은 일반적(一般的)으로 정보(情報)의
◈ 취득(acquisition)-
◈ 통합(consolidation)-
◈ 저장(storage)--
◈ 회상(retrieval)- 이라는
4개의 다른 단계로 나뉜다(be separated into four different stages).
그리고 특정 분자들(特定 分子= specific molecules)이 이 기억 과정의
여러 단계에서 각각 역할을 한다는(play a role in the various phases
of the memory process) 것은 이미 밝혀진 바 있다.
 
연구팀은 ‘CaMKII’라 불리는 단백질(蛋白質) 효소를 통해 ‘기억 분자’의
활동을 손쉽게 조작(quickly manipulate the activity of the memory
molecule)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이 단백질 효소(酵素)는 뇌(腦) 세포(細胞)의 소통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play a key role in brain cell communication)뿐 아니라 학습과 기억의
많은 부분과 연계되어 있는(be linked to many aspects of learning
and memory)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우선 이 효소를 과다(過多) 분비(分泌)하도록 키워진(be bred
to overproduce the protein) 쥐,
즉 유전자 도입 쥐(a transgenic mouse)를 통해 효소(酵素)가 장*단기
공포(恐怖) 기억과 새로운 사물에 대한 인지(認知) 기억 회상(the retrieval
of short-term and long-term memories and novel object
recognition memory)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실험했다.
 
연구팀은 쥐에게 공포 기억의 요인이 될 수 있는 자극을 가하면서 동시에
CaMKII의 분비를 유도한 후에 이 자극 기억을 회상하는 뇌의 능력을 관찰
(observe the brain’s ability to recall memory of the stimulation)했다.
 
그 과정에서 연구팀은 CaMKII 조작(造作)을 통해 쥐의 자극 기억을 차단할
(block the mice’s memory of the stimulation)뿐 아니라 다른 기억들의
회상(回想) 능력에는 영향(影響)을 주지 않으면서(without impacting
the brain’s ability to recall other memories) 해당 자극(刺戟) 기억만
제거(除去)할 수 있는 방법(方法)이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figure out there is a way to erase them).
 
연구팀은 또 기억 회상 순간에(at the very moment of recall) CaMKII의
일시적 과잉(過剩) 활동(transient excessive activity)을 유도(誘導)하면
장·단기 기억은 물론, 가깝게는 1시간 전(前)에 형성된 기억들의 회상도
하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여기서 주목할만한 현상(a noteworthy phenomenon)은 'CaMKII'가
작용하는 방식이 기억(記憶) 회상(回想) 과정을 단순히 차단하는(simply
cause a blockade of the recall process)게 아니라 저장된 기억의
빠른 제거에 따른(due to rapid erasure of the stored memories)
것이라는 점이다.
 
또, 지워진 기억들은 회상(回想)된 것들에 국한(局限)됐으며(be limited
to those being retrieved), 다른 기억들은 훼손(毁損)되지 않았다
(other memories remained intact).
 
연구팀을 이끈 치엔 박사는 이 기술이 특정 기억들을 빠르고 선별적으로
지우는 데 성공적인 유전자 조작 방식(a successful genetic method
for rapidly and selectively erasing specific memories)임이 확인
됐다며,
수시로 떠오르는 끔찍한 기억에 시달리고있는(suffer from reoccurring
traumatic memory) 퇴역(退役) 군인 등 기억의 고통을 겪는 사람들에게
언젠가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치엔 박사는 그러나
“곧 알약 하나로 사람에게도 같은 효과(效果)가 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expect to have a pill do the same in humans any time soon)
하는 것은 성급하다”며,
“우리는 아주 높은 산(山)의 기슭에 이제 겨우 다다랐을 뿐(barely arrive
at the foot of a very tall mountain)”이라고 밝혔다.
 
 
 
 
 

조선일보 윤희영 부장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이 정보에대한 궁금증은 하단에 있는 부장님의 메일주소로

직접 문의하시거나 또 다른 정보가 더 보고싶은 회원님은

조선일보 "URL"을 클릭하세요.

 
조선일보 ; 윤희영 에디터 (hyyoon@chosun.com)
​             (조선일보 편집국 에디터 겸 뉴스레터팀)
https://www.chosun.com/people/yoon-heeyoung
윤희영 에디터는 동시통역대학원(한국어, 스페인어, 영어)과 뉴욕특파원 출신으로

‘윤희영의 News English’를 통해서 시사·영어·작문을 한 자리에서 ‘원 스톱’으로

섭취할 수 있는 ‘모둠 차림상’을 차려내고 있습니다.

WWW.광주중의대.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