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쉬어가는 페이지

남편 잃은 여자(女)와 아내 잃은 남자(男)의 행복지수에는 차이가 있을까?

728x90

남편 잃은 여자(女)와 아내 잃은 남자(男)의

행복지수에는 차이가 있을까?

 

 

초고령(超高齡) 사회(社會)라는 일본(日本)에서는 노년층(老年層)의

행복을 측정(測定)하고 행복(幸福) 취약(脆弱) 계층(階層)을 돕기 위한

사회적(社會的) 논의(論議)가 활발히 진행(進行)되고 있다.

 

65세 이상(以上) 노인(老人)들이 전체 인구의 30%에 육박하는 만큼,

고령층의 행복도가 사회 발전에 중요한 변수라는 공감대가 있다.

 

작년 3월에 발간된 ‘세계행복보고서 2022’에 따르면, 일본 (日本)의

행복지수(幸福指數)는 전(全) 세계(世界) 146개국 중에서 54번째였다.

선진국(先進國) 중에서는 최하위였다(참고로 한국은 59위).

 

평생 회사에 의존 (依存)해서 살다가 퇴직(退職)하는 고령 남성들의

낮은 행복지수는 일본 사회가 가장 풀기 어려워하는 숙제다.

 

사회평론가인 스기다 슌스케(杉田俊介)씨는

“회사일에 몰입해 살아왔던 남성들이 퇴직이나 황혼이혼(黃昏離婚),

상처(喪妻) 등을 겪으면 고립(孤立)되어 행복한 노년(老年)을 보내기

어려워진다”면서

 

“그나마 배우자 (配偶者)와 함께 살고 있는 남성 (男性)이 혼자 사는

남성보다는 행복도(幸福度)가 평균적으로 높다”고 말했다.

 

이는 수치(數値)로도 증명(證明)된다.

비(非)영리단체인 일본의 ‘노화공학연구소’가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행복지수(幸福指數)가 80점 이상으로 높았던

고령(高齡) 남성(男性) 중에서 80%는 배우자와 같이 살고 있었다.

 

그렇지만 혼자 사는 1인 남성(男性) 중에서 행복도(幸福度)가 높다고

응답(應答)한 비율(比率)은 4%에 그쳤다.

 

혼자 사는 고령(高齡) 남성은 건강 측면에서도 불리한 측면이 많다.

올 초 일본(日本) 잡지(雜誌) ‘프레지던트’가 ‘자녀와 손자는 행복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라는 기사(記事)에서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독신남(獨身男)의

◈ 심근경색(心筋梗塞) 사망 위험도(리스크)는 기혼 남성의 3.5배,

◈ 심장발작(心臟發作) 사망(死亡) 위험도(危險度)는 2.2배,

◈ 호흡기관계(呼吸器關係) 질환 사망 위험도 역시 2.4배에 달한다.

 

또, 독신 남성의 자살률(自殺率)은 기혼자(旣婚者)와 비교하면

◆ 45~55세는 2.1배,

◆ 55~64세는 2.4배에 달한다.

취업이나 재산 같은 경제적인 문제보다는 고독감이 주된 원인이다.

 

스기다 슌스케씨는 작년에 출간한 ‘남자가 괴로워(男がつらい!)’란

저서에서 “늘그막에 배우자가 떠나고 난 뒤 홀로 남은 남녀 배우자의

반응(反應)은 엇갈린다”라면서

 

“남성(男性)은 삶에 의욕(意欲)을 잃고 행복지수도 크게 떨어지는

반면에, 여성(女性)은 남편(男便)이 떠나고 난 뒤에도 크게 행복감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아내는 평소에 남편에게만 의지(依支)하지 않고 친구와의 만남이나

지역 커뮤니티 네트워킹 등 다방면(多方面)에서 활동해 왔기 때문에

배우자 사별(死別) 후에도 큰 어려움 없이 살아간다는 것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하류노인과 행복노인을 쓴 사회학자 미우라 아츠시(三浦展)에 따르면,

혼자 사는 고령 남성에게 자녀나 손자는 행복 필수 요소는 아니다.

 

그런데 혼자 사는 고령 여성(女性)에게는 아무리 멀리 떨어져 살아도

자녀(子女)나 손자(孫子)가 행복지수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다.

 

동성 친구들이 많을 수록 여성 노인들은 행복해하는 경향이 강했다.

반면에 남성은 친구(親舊)가 몇 명이든 행복과는 별 상관이 없었는데,

이는 관계의 양(量)보다 질(質)을 추구하는 경향이 남성(男性)에게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그렇다면 혼자 사는 고령 남성의 행복도를 좌우하는 것은 무엇일까?

 

미우라 아츠시 씨는 “동성(同性) 친구(親舊)들 보다는 친하게 지내는

이성(理性) 친구가 고령(高齡) 독신남(獨身男)의 행복도(幸福度)와

더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말한다.

 

실제 고령층(高齡層) 설문조사에서도 이런 데이터가 나왔다.

◐ 친밀한 여성이 없는 고령 독신남의 행복도는 32%,

◐ 친밀한 여성이 있는 경우엔 58.3%까지 높아졌다는 것이다.

 

반면 고령(高嶺)의 여성(女性)은 이성(異性) 친구(親舊) 유무(有無)에

따른 행복도(幸福度) 차이(差異)가 크지 않았다.

 

고령(高嶺) 여성(女性)의 행복도(幸福度)는 결혼 (結婚) 여부(與否)나

배우자(配偶者) 존재가 남성(男性)만큼 큰 변수가 되지 않는다.

 

오히려 경제적(經濟的)인 불안감(不安感)이나 건강(健康) 불안증 등이

여성(女性)들의 행복(幸福) 점수(點數)를 좌지우지(左之右之)했다.

 

그런데 대한민국 (大韓民國)에서는 누가 행복(幸福)할지도 궁금하다.

지난달 통계개발원이 발표한 ‘한국인의 행복, 무엇을 해야 할까'?

 

통계개발원(統計開發院) 보고서(報告書)는

▶ 나이,

▶ 가족,

▶ 교육,

▶ 소득 등 항목에 따른 집단별 행복(幸福) 점수(點數)를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노인(老人)과 1인(一人) 가구(家具)가 행복의 관계에서

매우 취약(脆弱)한 집단(集團)으로 조사(調査)됐다.

 

김성아 보건사회연구원 박사는

“노년층(老年層)은 장년기의 생애 부담과 노년기의 여러 경험 때문에

다른 연령대에 비해 행복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았다”면서

 

“가구원(家口員) 수(數)는 많을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행복도를 느끼며,

1인 가구의 행복(幸福) 점수(點數)가 가장 낮았다”고 말했다.

 

 

 

조선일보 이경은 기자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또 다른 정보가 더 보고싶은 회원님은 하단에 있는

조선일보 "URL"을 클릭하세요.

 

조선일보 ;이경은 기자

https://www.chosun.com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WWW.광주중의대.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