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상식

심장이 보내는 마지막 경고 부정맥 신호... 어제도 멀쩡했는데 그가 돌연사라고?

728x90

심장이 보내는 마지막 경고 부정맥 신호...

어제도 멀쩡했는데 그가 돌연사라고?

 

 

조선일보 의학(醫學) 전문 유튜브 콘텐츠 ‘이러면 낫는다’가 세브란스 병원과

함께하는 ‘심장 건강 지키기’ 프로젝트로 ‘부정맥(不整脈)’ 편을 공개했다.

 

정보영 세브란스병원 심장(心臟) 혈관병원 심장내과 교수가 출연해 부정맥의

증상(症狀)과 치료법(治療法), 예방법(豫防法) 등을 소개(紹介)했다.

 

부정맥(不整脈)은 심장(心臟)이 정상적(正常的)으로 뛰지 않는 병(病)이다.

일반적으로 심장은 분(分)당 60~100회 정도 뛰는 데, 부정맥은 심장이 이보다

◈ 많거나(빈맥)

◈ 적게(서맥) 뛰는 것을 말한다.

 

신체의 펌프(pump) 기능을 하는 심실(心室)이 가늘게 움직이며 파르르 떠는

‘심실세동(心室細動)’의 경우는 각 장기(臟器)로 피(血)가 공급(供給)되지 않아

급사(急死)로 이어질 수 있다.

 

심실(心室)로 가는 피를 담고 있는 심방(心房)이 떨리는 심방세동(心房細動)이

생기면 피가 고여 혈전(血栓) 등의 증상(症狀)이 잘 생기며, 심방세동의 가장 큰

위험(危險) 인자(因子)는 나이다.

 

정 교수는

“심장(心臟)이 늙으면 섬유화(纖維化)되는 데, 전기적(電氣的) 흐름이 엉망이

되는 것”이라 했다. 반면 심실세동(心室細動)의 가장 큰 원인(原因)은 심장으로

가는 혈관(血管)이 막히는 것이다.

 

정 교수는

▣ “빈맥(頻脈)의 대표적인 증상(症狀)은 어지럼증, 숨참, 두근거림 등이 있고

▣ 서맥(徐脈)의 경우 만성(慢性) 피로(疲勞) 등이 있다"라고 했다.

 

부정맥(不整脈) 진단 (診斷)을 위해서는 심전도(心電圖) 기록이 가장 중요하다.

최근에는 14일까지 실시간으로 심전도를 기록하는 패치(patch)가 사용된다.

 

정 교수는

“최근에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 작은 기기(機器)들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맥박이 두근거린다면 심전도를 자가 측정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라고 했다.

 

심방세동은 혈액(血液)의 응고를 막는 ‘항응고요법’을 통해서 피를 묽게 만든다.

심방세동(心房細動)은 재발(再發)하지 않을 확률이 약 80%로 높은 편이다.

 

심실세동(心室細動)의 경우에는 피부(皮膚) 밑에 소형 제세동기 (除細動器)를

삽입(揷入)해 부정맥(不整脈)이 발생했을 때 충격을 줘 위험을 막는다.

 

서맥(徐脈)의 경우 맥박(脈搏) 수(數)가 일정 기준(基準) 이하(以下)로 떨어지면

심장(心臟) 박동(搏動)을 유발(誘發)하는 심박동기(心搏動器)를 넣는다.

 

정 교수는

“부정맥(不整脈) 예방(豫防)을 위해서는 음주(飮酒)를 줄이고 적당한 운동을

해야 한다"라며 “건강(健康)한 생활습관(生活習慣)이 부정맥을 포함(包含)하여

모든 질환(疾患)을 막는다"라고 조언했다.

 

‘이러면 낫는다’는

유튜브 홈페이지나 앱에서 ‘이 건강(健康)’을 검색(檢索)하면 시청할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91MMGlJXKJ

※동영상 시청 방법

<위에 있는 "URL"를 클릭하시면 동영상이 나옵니다>

 

 

 

조선일보 박지민 기자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또 다른 정보가 더 보고 싶은 회원님은 하단에 있는

조선일보 "URL"을 클릭하세요.

조선일보 ; 박지민 기자

https://www.chosun.com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WWW.광주중의대.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