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 몇 방울로 폐암(肺癌) 조기 발견...
국내 연구진들이 폐암 진단 기술 개발
(울산=연합뉴스) 허광무 기자 =
몇 방울의 혈액(血液)으로 폐암(肺癌)을 조기 (早期)에 발견(發見)할 수 있는
진단(診斷) 기술(技術)을 국내(國內) 연구진(硏究陣)이 개발(開發)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의 조윤경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은
전처리하지 않은 극미량의 혈장(혈액에서 혈구가 가라앉은 노란 액체)으로도
암 돌연변이를 진단할 수 있는 기술 'EV-CLIP'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 오인재 전남대병원 교수팀,
◈ 김미현 부산대병원 교수팀,
◈ 류정선 인하대병원 교수팀과 공동(共同)으로 수행됐다.
이 진단(診斷) 기술은 혈액(血液) 속 나노(nano)소포체(小胞體= EV)와 분자
비콘(molecular beacon= 핵산 분자)을 담은 인공 리포좀 (CLIP)을 머리카락
보다 가는 관(管) 안에서 융합(融合)시키는 방식이다.
암세포(癌細胞)에서 흘러나온 나노소포체(EV)에는 mRNA나 miRNA와 같은
유전(遺傳) 변이(變異) 정보(情報) 물질(物質)이 담겨 있는데, 분자(分子) 비콘이
이 물질과 만나면 형광(螢光) 신호(信號)를 내는 원리(原理)다.
이 방식을 적용하면 핏방울 약 4∼5개 양에 해당하는 20㎕ (마이크로리터)의
혈장(血漿)만으로 암(癌)을 진단(診斷)할 수 있다.
이 기술은 특정(特定)한 암(癌) 돌연변(突然變異)이 유무(有無) 확인뿐 아니라
초기(初期) 암 진단, 치료 후 잔류 암세포 모니터링 등에도 활용할 수 있다.
또 기존(旣存)의 진단법과 달리 혈장 (血漿)을 전처리해 나노(nano) 소포체만
따로 추출하거나 유전자(遺傳子)를 증폭하는 등 복잡한 과정이 필요 없다.
연구진이 8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혈액(血液)을 분석하는 임상(臨床) 실험을
진행한 결과, 개발된 진단 기술은 폐암(肺癌) 항암제(抗癌劑) 선택에서 중요한
EGFR 유전자(遺傳子) 돌연변이(突然變異)를 100% 정확도로 찾아냈다.
특히 기존 차세대 염기서열(NGS) 기반 액체 생검으로는 발견하기 어려웠던
폐암(肺癌) 1∼2기(期) 환자 (患者)들의 돌연변이(突然變異)도 정확(正確)하게
찾아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
이 기술은 바이오 벤처기업 랩스피너(LabSpinner)에 이전(移轉)돼, 병원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진단(診斷) 키트(kit) 형태로 개발될 예정이다.
조 교수는
"혈액(血液) 몇 방울로 암(癌)을 조기(早期)에 발견(發見)하고 치료 효과까지
확인(確認)하는 길이 열렸다"면서 "이 기술이 환자들의 고통 (苦痛)과 부담을
크게 줄이면서도 정확한 진단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기초과학연구원과 한국연구재단의 지원(支援)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는 나노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ACS Nano' 표지논문으로 선정되어
지난 11일 출판됐다.
연합뉴스 허광무 기자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이 정보에대한 궁금증은 하단에 있는 기자님의 메일주소로
직접 문의하시거나 또 다른 정보가 더 보고싶은 회원님은
연합뉴스 회사 로고를 클릭하세요.
연합뉴스 ; 허광무 기자(hkm@yna.co.kr)
http://www.yonhapnews.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WWW.광주중의대.com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망증, 경도인지장애, 치매 어떻게 다른가? 전문 의사가 말하는 확실한 구별 방법 (0) | 2025.04.08 |
---|---|
나이 젊지만 두통, 냄새, 환청 등 감각 이상 있다면... 치명적 질환인 뇌종양과 관련된 주요 증상 (0) | 2025.04.01 |
질병청, 감염병 중점·검역 관리지역 발표... 해외여행 시 주의해야 할 지역 확인 (0) | 2025.03.30 |
치료제 없는 파킨슨병 드디어 완치되나?... 병(病)의 '구조'와 '발현' 미스터리 확인 (0) | 2025.03.25 |
종양 DNA로 암 전이와 재발까지 예방... ‘이이제이(以夷制夷)’ 치료 전략 기술 (0)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