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에서 발생하는 모든 덩어리는 "유방종괴"...
유방암인지 구별하는 '간단한' 방법
직장인 A씨(39)는 샤워(shower)를 하다가 가슴 안쪽에서 덩어리가
만져져 덜컥 겁이 났다. 인터넷으로 유방암에 대한 검색을 했는데 마치
본인(本人)의 얘기를 하는 것만 같아 밤잠을 설쳤다.
다음날 가까운 종합병원의 유방(乳房)*갑상선(甲狀腺)센터를 방문한
A씨는 유방외과 전문의의 문진(問診)과 초음파(超音波) 검사(檢査)를
통해 ‘섬유선종(纖維腺腫)’이라는 진단을 받고 안심할 수 있었다.
유방에 발생하는 혹이나 종양 등의 모든 덩어리를 ‘유방종괴’라고 한다.
A씨처럼 유방(乳房)에서 덩어리( =멍울= 혹)가 만져진다고 해서 모두
암(癌)이 되는 것은 아니다.
유방종괴(乳房腫塊)는
◈ 유방낭종(乳房囊腫),
◈ 섬유선종(纖維腺腫),
◈ 유방암(乳房癌) 등이 주요 원인(原因)이며,
이중에서 유방암은 악성(惡性) 종괴(腫塊)이다.
흔히 물혹이라 불리는 유방낭종(乳房囊腫)은 속이 비어 있는 덩어리로
난소(卵巢)에서 분비(分泌)되는 호르몬(hormone)에 의해 월경(月經)
주기(週期)에 따라서 변(變)한다.
주로 35세 이후의 여성에게 발생해 폐경 전(前)까지 증가(增加)하다가
폐경(閉經)이 되면 빈도(頻度)가 감소(減少)한다.
한국(韓國) 여성에게 가장 흔한 유방(乳房) 질환(疾患)인 섬유선종은
유방 조직(組織) 일부(一部)가 과다(過多) 증식(增殖)해서 발생하는데
20∼30대의 젊은 여성에게 주로 발생(發生)한다.
호르몬(hormone)의 영향을 받는 만큼 월경(月經) 주기(週期)에 따라
크기가 변할 수 있으며 임신(姙娠) 및 수유(授乳) 기간(期間) 중 크기가
커지고 폐경(閉經) 이후(以後) 크기가 감소(減少)한다.
유방(乳房)을 구성하는 여러 세포(細胞) 중에 하나가 유전적(遺傳的)
변이(變異)가 일어나 암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유선(乳腺)과
유관 상피세포에서 발생한 암을 유방암(乳房癌)이라고 한다.
유방암에서 나타나는 흔한 증상 중 하나가 유방(乳房) 종괴(腫塊)로
스스로 양성(陽性)과 악성(惡性)을 구분하기 어려우므로 유방 종괴가
만져질 경우 신속(迅速)하게 진단(診斷)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유방종괴(乳房腫塊)는 보통 2cm 정도의 크기일 때 만져진다.
양성인 경우 피부 변화가 없고 부드러운 편이며, 만졌을 때 잘 움직인다.
만약 악성(惡性)이라면 덩어리가 잘 움직이지 않는 고정감(固定感)과
함께 딱딱함이 느껴지며 피부 (皮膚) 함몰 (陷沒)이나 귤껍질 모양으로
피부 변화(變化)가 발생(發生)한다.
대동병원 유방·갑상선센터 김병형 과장(외과 전문의)은
“우리나라의 경우 젊은 층에서 유방암 발생률(發生率)이 높은 편으로
20세부터 매달 월경(月經)이 끝난 3∼4일 후에 자가(自家) 진단하고,
40세부터는 국가 암 검진을 통해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한다”며
“유방종괴(乳房腫塊)가 발견(發見)되면 정확(正確)한 원인(原因)과
악성(惡性) 여부(與否)를 파악하기 위해서 신속히 진단(診斷)을 받고
치료(治療)를 서두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유방종괴(乳房腫塊)의 원인(原因)을 찾기 위해서는
◆ 문진(問診) 및
◆ 촉진(觸診)을 우선 시행하고 경우에 따라
◇ 유방촬영술,
◇ 유방초음파,
◇ 조직검사 등을 시행하게 된다.
양성(陽性) 종양(腫瘍)의 경우
◀ 크기,
◀ 성장(成長) 속도(速度),
◀ 통증(痛症) 등에 따라
제거(除去) 수술(手術)을 하거나 추적(追跡) 관찰(觀察)을 하게 되며,
유방암(乳房癌)으로 진단(診斷)을 받은 경우 진행(進行) 정도에 따라
▶ 수술(手術) 치료(治療),
▶ 방사선(放射線) 치료,
▶ 항암(抗癌) 치료를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이달부터 의료진(醫療陣) 판단에 따라 유방 및 액와부(腋窩部)
질환이 의심되거나 유방암 등 유방질환의 경과 관찰을 위해서 실시하는
초음파의 경우, 의료보험을 적용할 수 있게 돼 환자의 부담이 줄었다
헬스조선 한희준 기자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또 다른 정보가 더 보고싶은 회원님은 하단에있는
조선일보 회사 "URL"을 클릭하세요.
조선일보 ; 한희준 핼스조선 기자
Copytight HEALTHCHOSUN.COM
http://health.chosun.com/
WWW.광주중의대.com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방암에 항암치료가 꼭 필요할까? 암(癌) 조직에서 유전자 검사 통해 결정 (0) | 2023.11.07 |
---|---|
드디어 인류의 암 정복이 시작된 것일까? "암 크기 줄었다"... 암 정복 '성큼' (0) | 2023.11.06 |
몸에 생기는 "멍울(혹)"의 종류와 특징... 멍울이 '암(癌)'일 때는 ‘이런 특징’ 있다 (1) | 2023.10.30 |
진찰과 각종 검사에서는 이상이 없다는데... 그렇다면 나는 왜 아픈 것일까? (1) | 2023.10.24 |
‘경련, 설사 호소’ 환자 응급수술한 의사 경악... 뱃속서 발견된 것은 거대한 덩어리 (6) | 2023.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