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상식

자살자 사망 3개월 전에 방문했던 기관과 생애 주기별 분석 결과

728x90

​자살자 사망 3개월 전에 방문했던 기관과

생애 주기별 분석 결과

사망 전, 정신과 방문

사망(死亡) 전(前) 3개월 이내(以內)에 도움을 받기 위해서 기관(機關)을

방문했던 자살사망자 394명 중에서

◈ 198명(50.3%)은 정신건강의학과(精神健康醫學科)를 가장 많이 찾았고,

◈ 168명(42.6%)은 병*의원(病*醫院)을, 이어서

◈ 금융기관(9.1%),

◈ 법률자문기관(7.4%),

◈ 종교기관(6.9%),

◈ 한의원(6.6%) 등을 방문(訪問)한 것으로 확인(確認)됐다.

 

연령대별(年齡代別)로 방문 기관을 살펴보면

▣ 청년층의 경우 정신건강의학과(68.7%)를 가장 많이 찾았으며

▣ 노년층은 일반 병·의원(78.6%)을 찾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

▣ 중·장년기 자살사망자의 경우 약 12% 정도가

상대적으로 병*의원 외에 금융기관을 방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유족에 미치는 영향

한편 자살 가족을 둔 유족들에게는 사후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심리부검 면담에 참여한 유족 952명 중 906명(95.2%)은 사별(死別) 이후

일상생활에서 심리상태(心理狀態)의 변화를 경험한 것으로 드러났다.

 

자살 가족을 둔 유족(遺族) 793명(83.3%)은 우울(憂鬱) 증상을 느꼈으며

이 중 580명(60.9%)은 중증도(重症度) 이상(以上)의 우울 상태였다.

 

사별(死別) 기간(期間)이 3개월 이하(以下)인 유족(遺族)의 경우, 심각한

우울을 호소(呼訴)하는 비율이(25.4%) 높았고 특히 유족이 부모(28%) 및

배우자(25.6%)인 경우 심각한 우울(憂鬱)을 겪는 것으로 밝혀졌다.

 

심리부검(心理剖檢) 면담(面談)에 참여(參與)한

◆ 대부분의 유족(71.4%)이 수면(睡眠) 문제를 겪고 있으며

◆ 196명(20.6%)은 음주(飮酒) 문제를 경험(經驗)하고 있었고

복합비애(複合悲哀) 항목(項目) 조사대상 480명 중에서

◇ 384명(80%)이 경계성 이상의 복합비애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고인과의 관계에 따라 자살 생각 응답 비율이 다르게 나타났다.

유족이

▶ 부모일 때 자살을 생각하고 있다는 응답이(69.2%) 가장 높고 이어서

▶ 형제·자매(61.1%),

▶ 배우자(59.3%),

▶ 자녀(56.5%)순으로 조사됐다.

 

한편, 심리부검 대상 자살(自殺)사망자 343명(42.8%)은 생존(生存) 당시

자살로 가족, 지인을 잃은 자살 유족인 것으로 나타나 자살시도자뿐 아니라

유족(遺族)에 대한 사후관리(死後管理)의 중요성을 확인했다.

 

전화상담

  • 자살예방상담전화 1393
  • 정신건강상담전화 1577-0199
  • 청소년 HelpCall 1388
  • 한국생명의전화 1588-9191

온·오프라인 상담

  • 한국생명의전화
  • 청소년사이버상담센터
  •  

 

 

한의신문 주윤성 기자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다른 정보가 더 보고싶은 회원님은 하단에 있는

한의신문 "URL"이나 회사 로고를 클릭하세요.

한의신문 ; 주윤성 기자

Copyright @2020 한의신문. All rights reserved.

http://www.akomnews.com

WWW.광주중의대.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