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련, 설사 호소’ 환자 응급수술한 의사 경악...
뱃속서 발견된 것은 거대한 덩어리
껌(gum)을 씹다 보면 의도치 않게 꿀떡 삼킬 때가 있다.
껌은 삼켜도 대체로 소화기관(消化器官)을 통해서 그대로 배출된다고
알려져 있지만 종종 위험(危險)한 사고(事故)가 발생하곤 한다.
지난 27일(현지시간) 영국 매체 미러와 뉴욕포스트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美國) 오하이오(Ohio) 주(州) 응급실 (應急室)에 찾아온 A군(4)은
껌 40개를 한꺼번에 삼킨 뒤 응급수술(應急手術)을 받았다.
치지테 이헌누눅 (Chizite Iheonunekwu) 박사(博士)는 경련 (痙攣)과
설사(泄瀉) 증상으로 찾아온 A군의 응급수술을 담당했다.
그는 즉시 A군의 CT를 촬영(撮影)했고 그 결과 놀라운 것을 발견했다.
거대한 껌 덩어리가 A군의 위장(胃腸)을 꽉 막고 있었다.
껌 덩어리는 위장(胃腸) 내 공간(空間)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었다.
소화기관을 통해서 배출될 수 있는 양을 훨씬 넘었기에 치지테 박사는
껌 덩어리를 목구멍을 통해 꺼내기로 하고 수술을 진행했다.
치지테 박사는 속이 빈 금속관(金屬管)을 목구멍에 꽂은 뒤에 집게를
이용해서 껌을 조각내고 꺼내 올렸다. 빠른 수술 덕분에 A군은 가벼운
인후통(咽喉痛) 증상(症狀) 외에 장기적인 악영향은 피할 수 있었다.
껌(gum)은
◈ 향을 내는 감미료와 향료,
◈ 방부제 그리고
◈ 고무 재질의 기초제 등으로 구성된다.
나머지 성분(成分)은 소화(消化) 과정에서 쉽게 녹아 배출(排出)된다.
문제는 인공적으로 합성(合成)한 초산비닐수지 등 고분자량 화합물인
폴리머(polymer)로 구성되는 고무 재질(材質)의 기초제다.
이 물질은 위산(胃酸)에 의해서도 분해되지 않는데 다행히 기관 내에
쌓이거나 들러붙지 않고 대체로 소화 기관을 통해서 그대로 배출된다.
보통 하루 만에 몸속에서 빠져나간다.
특히, 소화(消化) 기능(機能)이 약(弱)한 어린이들 장 (腸)에서는 껌이
다른 음식물(飮食物)과 덩어리를 형성할 수 있다.
껌의 기초제(基礎劑)는 분해(分解)가 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음식과
덩어리를 형성(形成)하면 배출(排出)되지 못하고 장(腸) 속에 머물면서
복통(腹痛)을 유발(誘發)할 수 있다.
그래서 전문가(專門家)들은 되도록이면 껌을 삼키지 말라 조언한다.
위장(胃腸) 전문의(專門醫) 엘리자베스 라잔(Elizabeth Rajan) 박사는
“드문 경우지만 껌을 다량 삼키면 변비 또는 장을 막는 경우가 있다”며
“특히 어린이의 경우 껌을 자주 삼키지 않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매일경제 맹성규 기자님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또 다른 정보가 보고 싶은 방문자님은 하단에 있는
매일경제회사 "URL"을 클릭하세요.
매일경제 ; 맹성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http://www.mk.co.kr/
WWW.광주중의대.com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에 생기는 "멍울(혹)"의 종류와 특징... 멍울이 '암(癌)'일 때는 ‘이런 특징’ 있다 (1) | 2023.10.30 |
---|---|
진찰과 각종 검사에서는 이상이 없다는데... 그렇다면 나는 왜 아픈 것일까? (1) | 2023.10.24 |
탈모가 본격적인 진행에 앞서 보내는 위험 신호... 뒷머리, 이마, 정수리 등의 탈모 진단법 (1) | 2023.10.17 |
단순한 통증(痛症)인줄 알았는데 심장병? 심장마비(心臟痲痺) 전조 증상 7가지 (2) | 2023.10.16 |
고혈압 낮추는 최고의 운동 ‘등척 스쿼트’... 유산소운동보다 쉽고 간편해 (0) | 2023.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