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상식

구강암 28배 위험에 농약 범벅인 '빈랑'... 껌처럼 씹는 '이 열매' 조심하세요

728x90

구강암 28배 위험에 농약 범벅인 '빈랑'...

껌처럼 씹는 '이 열매' 조심하세요

 

대만(臺灣) 시민단체(市民團體)가 대만에서 시판 중인 빈랑 열매 상당수에서

미승인(未承認) 맹독성(猛毒性) 농약이 검출됐다며 위험성을 경고했다.

 

빈랑(檳榔)은 구강암(口腔癌)을 일으키는 1급 발암물질(發癌物質) 아레콜린

(arecoline) 성분(成分)을 포함(包含)하고 있는 약재(藥材)다.

 

대만 중앙통신사에 따르면 대만 시민단체인 '빈랑(檳榔) 암 예방 및 통제 연맹

(이하 연맹)'은 전날 기자회견 (記者會見)을 열어 "대만(臺灣) 전역(全域)에서

시판 중인 빈랑 샘플 116건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87%에서 각종 미승인

농약 잔류물이 검출돼 식품으로 부적격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맹은 "1급 발암물질인 빈랑(檳榔)에 농약(農藥)까지 더해질 경우는 인체에

심각(深刻)한 위험(危險)을 초래할 수 있다"며 "빈랑을 씹으면 구강암이 발생할

확률이 섭취하지 않는 사람의 28배에 달한다"고 경고했다.

 

이어 "많은 이들이 다른 첨가물을 넣지 않은 빈랑은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데

이는 잘못된 상식"이라며, "빈랑(檳榔)에는 1급 발암물질 성분이 함유돼 있어

가공 여부와 관계없이 구강암 발생 위험이 상당히 높다"고 덧붙였다.

 

연맹은 보건 당국에서 빈랑(檳榔)의 위험성 (危險性)을 직시해 섭취(攝取)를

엄격(嚴格)히 규제(規制)하는 대책을 조속히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 중국,

◈ 대만,

◈ 인도(印度) 등에서는 빈랑(檳榔)을 껌처럼 씹는 사람들이 많고,

 

빈랑(檳榔)을

▣ 냉증(冷症) 치료와

▣ 장(腸) 기능 강화,

▣ 기생충(寄生蟲) 퇴치 약재(藥材)로도 사용해왔다.

 

빈랑(檳榔)은 열매나 겉껍질을 씹으면 각성효과(覺醒效果)를 얻을 수 있어

일종의 기호식품(嗜好食品)처럼 소비(消費)된다.

 

지난 2020년 코로나19 유행 초기에는 "바이러스를 퇴치하는 효능이 있다"는

그릇된 정보(情報)로 판매(販賣)가 급증(急增)하기도 했다.

 

그러나 빈랑(檳榔)에 함유된 아레콜린(arecoline) 성분은 구강암(口腔癌)을

유발(誘發)하고 중독(中毒)을 일으키는 발암 물질(發癌物質)이다.

 

중국(中國) 후난성에서 수년 전 구강암(口腔癌) 환자(患者)들 8,000여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 중 90%가 빈랑을 섭취한 것으로 밝혀졌다.

 

세계보건기구(WHO) 국제 암연구소는 2003년 빈랑(檳榔)을 1급 발암물질로

지정했으며, 중국도 2017년 아레콜린 성분을 구강암 유발 물질로 규정했다.

 

중국은 2020년 빈랑(檳榔)을 식품 품목에서 제외한 데 이어서 2021년에는

온라인 홍보(弘報)와 판매 행위를 전면(全面) 금지(禁止)하고 일부 지역에서는

판매대에 진열된 빈랑 가공제품을 전면 수거하는 등 섭취 제한에 들어갔다.

 

앞서 중국의 한 식품 잡지는 2020년 중국 내 빈랑(檳榔) 소비량(消費量)이

10만3 378만t에 달하고, 빈랑 관련 업체(業體)가 1만5000여곳에 달한다고

보도(報道)한 바 있다.

 

지난해 9월 구강암(口腔癌)으로 사망(死亡)한 중국 가수(歌手) 보송(博松)은

생전(生前)에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서 사람들에게 "빈랑을 절대 먹지

말라"고 강조했다.

 

보송은 빈랑(檳榔) 열매를 약 6년 동안 즐겨 씹다가 볼이 점점 부어오른 후에

구강암 판정을 받았으며, 이후 1년간 투병하다 36세의 나이로 숨졌다.

 

한국(韓國)에서는 빈랑이 한약재로 사용되어 해마다 수십t씩 수입되고 있다.

지난해 10월 더불어 민주당 홍성국 의원이 관세청에서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작년 8월까지 국내에 수입된 빈랑은 103t이었다.

 

당시 관세청(關稅廳)은 빈랑이 약사법(藥師法)에 따른 한약재(漢藥材)로

관리돼 검사필증만 있으면 수입 통관에 별다른 제재를 할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5년까지 빈랑 관련 안전성 평가 연구를 하겠다고

밝혔으나 지난해까지 주관연구기관 선정도 안 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홍 의원은

"애초에 안전성 평가가 실시되지 않아 위험성 여부가 담보가 안 되는 가운데

식약처와 관세청이 핑퐁게임을 하고 있다"며 "신속한 안전성(安全性) 평가 등

주무 부처의 신속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른기사 더 찾아보기

1,농약 성분 검출 대만의 ‘빈랑’, 우리나라와 무관

https://www.akomnews.com/bbs/board.php?bo_table=news&wr_id=55898

 

농약 성분 검출 대만의 ‘빈랑’, 우리나라와 무관 - 한의신문

한의협 “국민건강증진 위해 보다 철저한 식약공용 한약재 관리 절실”식약처, “‘빈랑’ 국내에 수입되지 않아…국내에서는 한약재 ‘빈랑자’만 의약품으로 사용

www.akomnews.com

 

 

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이 정보에대한 궁금증은 하단에 있는 기자님의 메일주소로

직접 문의하시거나 또 다른 정보가 더 보고싶은 회원님은

아시아경제"URL"을 클릭하세요.

 

아시아경제 ; 김정현 기자 (khj27@asiae.co.kr)

www.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무단전재 배포금지

 

 

 

WWW.광주중의대.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