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한의학, 한의사,한의대

변증론치(辨證論治)의 한의학 교육(1부) 한의대 교과서 70~80년대 중의학 내용

728x90

변증론치(辨證論治)의 한의학 교육(1부)

한의대 교과서 70~80년대 중의학 내용

 

 

우리나라 한의과대학(韓醫科大學) 교과서를 보면 대부분이 70~80년대(代)

중의학(中醫學) 내용을 그대로, 혹은 변역해 들어온 것이 그대로 남아 있는데

여기서는 변증론치(辨證論治)가 주류(主流)를 이루고 있다.

 

한때 한방내과학(韓方內科學) 책을 보면

◈ 어떤 책은 동의보감(東醫寶鑑) 분류(分流),

◈ 어떤 책은 의학입문(醫學入門) 분류,

◈ 어떤 책은 중의변증(中醫辨證) 분류로 나열(羅列)돼 있었고,

심한 경우 이 3가지가 모두 게재(揭載)된 경우도 있었다.

 

그당시 공부를 하면서 단순하게 ‘국내 교수진이 정(定)해주시면 안 되는가’,

‘가령 복통이라면 허복통 (虛腹痛)과 실복통(實腹痛) 등 3~ 4개를 예시하고,

각각의 차이점(감별진단)을 알려주면 되지 않을까’하고 생각했다.

 

이후 교수(敎授)가 되고, 학생들에게 정형화된 변증(辨證)을 가르쳐야 할 때

내가 겪었던 과정을 그대로 학생들이 겪고 있다는 생각에 아찔했다.

 

그래도 사상의학(四象醫學)은 일단 체질 (體質)과 병증 (病症)을 나누어서

체질별 4대 병증 카테고리(Kategorie)에 적용하면 처방이 나오는 방식이라

비교적 수월한 편이다.

 

중국(中國)은 청대(淸代)까지도 ‘변증론치(辨證論治)’는 없었는데 ‘의학심오

(醫學心悟)’에서도 팔강변증(八綱辨證)이 나올 뿐이다.

 

그러다가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이 설립(設立)되고 근대에 들어

‘변증론치(辨證論治)’가 만들어 졌다. 이는 어떻게 보면 작위적 (作爲的)이고

인위적(人爲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고 이를 무용(無用)한 것으로 치부(置簿)해 폐기(廢棄)할 수도 없다.

변증(辨證)에는 허(虛), 실(實), 한(寒), 열(熱)이 들어가 있기 때문이다.

 

해외 사례에서에서 본 변증 수업

학생들이 실습(實習)을 하고 환자(患者)를 보면서 초기(初期) 변증(辨證)을

세운다고 가정(假定)할 때 그것을 어떻게 확진(確診)해 줄 것인가?

 

최근 제74회 일본(日本)동양의학(東洋醫學) 학술총회(學術總會)에 참가해

임상(臨床) 실습(實習) 관련(關聯) 강좌(講座)를 수강(受講)했다.

 

주로 한의학(漢醫學) 교육(敎育)에 초점(焦點)을 맞춰서 강의를 들었는 데

보통 일본(日本)은 전체 82개 의과대학(醫科大學) 모두 코어 프로그램으로

한방의학을 조금 가르치고 있기에 수준이 낮다고 생각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그중 한방의학(漢方醫學= Kampo) 교육이 활성화(活性化) 된 곳을

예시(例示)로 들어 소개(紹介)했는데 그 내용(內容)은 매우 놀라웠다.

 

설명(說明)에 따르면 학생들 4~5명으로 팀을 나눠 팀별로 케이스를 주고,

이에 대한 공부와 진단(診斷)에 이어서 처방(處方)을 찾아 발표하게 하거나

병원에 온 환자에게 진찰 (診察)을 시키고, 다시 지도(指導) 의사(醫師)가

진찰해 잘 수행(遂行)됐는지 여부를 확인(確認)하는 과정이 있었다.

 

예전 미국 LA 동국대학교에서는 학생의사(學生醫師)가 침을 놓을 경우는

침(鍼) 시술료(施術料)가 비교적 저렴하고, 교수(敎授)가 침을 놓을 경우엔

비싼 편이라고 했으며, 학생의사는 반드시 환자를 보고 그 기록을 남기고,

슈퍼바이저(supervisor= 주로 교수)에게 서명(署名)을 받아야했다.

 

 

한의신문과

유준상 교수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다른 정보가 더 보고싶은 회원님은 하단에 있는

한의신문 "URL"을 클릭하세요.

한의신문 ; 유준상 교수(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Copyright @2020 한의신문. All rights reserved

http://www.akomnews.com/

 

 

WWW.광주중의대.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