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증론치(辨證論治)의 한의학 교육(3부)
임상 현장의 증례 통한 변증 이뤄져야...
침(鍼) 처방(處方)을 위한 진단(診斷)에 다양(多樣)한 방법(方法)이 있는 데
‘일본(日本) 침구(鍼灸)의 진단학(診斷學)’이라는 책(冊)에서는 사진(四診)의
중요성(重要性)을 강조(强調)하고 있으며,
흥미로운 것은 변증(辨證)을 하나로 하지 않고, 가령
◈ 측두통(側頭痛),
◈ 구고(口苦),
◈ 인건(咽乾) 등의 증상(症狀)이 있을 때
▣ 장부변증(臟腑辨證)으로 간담병증(肝膽病症),
▣ 육경병증(六經辨證)으로는 소양경병증(少陽經病症) 등으로
자유스럽게 적어 놓았던 것을 봤다.
중의사(中醫師)인 동생의 이야기에 의하면 중국(中國)의 경우는 지나치게
장부변증(臟腑辨證)에 집착(執着)한 나머지 마치 구구단(九九段)을 풀듯이
변증(辨證)해 처방(處方)까지 나온다고 했다.
우리의 경우는 탕액(湯液)을 사용(使用)하려면 변증(辨證)을 해야 할 것이고,
침 처방을 사용하려면 이에 맞는 경락변증(經絡辨證)을 해야 할 것이다.
다만 이를 그냥 증상(症狀)의 문진(問診)뿐만 아니라 맥진(脈診), 설진(舌診),
복진(腹診)의 정보(情報)를 넣어 진행하면 더 좋지 않을까 생각한다.
만성(慢性)인 환자(患者)의 경우에는
▶ 허실협잡(虛實挾雜)도 있고,
▶ 한열협잡(虛實挾雜)도 있기에 쉽지 않은 경우도 있다.
예컨대 한 경피증 환자의 증례에서
◆ 무기력,
◆ 전신 관절통,
◆ 소화불량
◆ 대변: 1회/일
◆ 소변: 1회/3시간
◆ 수면 5시간 중 야간뇨 4회
◆ 설담홍, 태소
◆ 맥: 우측맥 강하고, 부하다, 우측맥 중에 촌이 약하다, 좌측맥 침완하다
◆ 복진= 피부 건조하다
◆ 복력 2/5
◆ 추위에 민감해 항상 적외선(赤外線)을 켜 놓는다고 했을 때 일반적으로
‘한상(寒象)’을 보인다고 판단(判斷)할 수 있다.
이때는 음허(陰虛)로 보는 것이 좋은가? 양허(陽虛)로 보는 것이 좋은가?
양허로 보는 것이 적당하다고 본다.
이와 같이 증례를 보면서 연습하면 교과서만 보며 음허*양허의 진단기준에
‘맞다’, ‘안 맞다’하는 것보다 선명하게 들어오게 될 것이다.
다만 이런 만성병 (慢性病) 환자는 허실(虛實), 한열(寒熱)이 섞이는 경우도
있기에 주의(注意)가 필요하다.
‘어혈(瘀血)’에 대해서도 어떤 한의사는 넘어져서 생긴 ‘고인 피’라고 하지만
이것이 중의학(中醫學)에서는 과도 (過度)하게 어혈이라는 개념 (槪念)으로
확대(擴大)된 것이라고도 한다.
물론 처음에는 사혈(死血) 개념(槪念)으로 타박상 (打撲傷)으로 인한 것이
1차적으로 포함됐겠지만 그 이후에는 의미가 더 확장되어 다양한 피부질환,
정신질환 등에 활용하기도 하는 것이 어혈변증(瘀血辨證)이다.
청(淸)나라 의학자인 왕청임도 어혈(瘀血)을 통한 여러 질환을 치료하는데
한몫한 셈이다. 어떻게 보면 선구적인 발상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예전 임상(臨床) 현장의 증례를 기존 중의변증(中醫辨證) 항목에 무리하게
끼워 넣었던 것에 비해서 주문봉 (주문봉 진단학강의) 교수부터 병의 위치와
병의 성질을 ‘증소(證素)’라고 부르며, 증소 간의 자유로운 결합을 인정하고,
이들을 진단 결론으로 삼은 방식이 있다는 점도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앞으로 현대 한의학(韓醫學)에 있어서 우리들은 어떻게 한의학을 배우고,
전승(傳承)할 것인가에 대해 열띤 토론(討論)과 생각을 공유(共有)하는 장을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한의신문과
유준상 교수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다른 정보가 더 보고싶은 회원님은 하단에 있는
한의신문 "URL"을 클릭하세요.
한의신문 ; 유준상 교수(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Copyright @2020 한의신문. All rights reserved
http://www.akomnews.com/
WWW.광주중의대.com
'한국 한의학, 한의사,한의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자생 메디컬아카데미 인턴십" 개최... 미국 의대와 UAE 의대 학생들 한의학 체험 (0) | 2024.08.05 |
---|---|
실존 인물 유이태와 허준의 스승 유이태의 진실... 유이태를 名醫로 만든 거창의 바위들 (0) | 2024.07.23 |
변증론치(辨證論治)의 한의학 교육(2부) 한의대 변증 실습의 표준화 필요 (0) | 2024.07.16 |
변증론치(辨證論治)의 한의학 교육(1부) 한의대 교과서 70~80년대 중의학 내용 (0) | 2024.07.15 |
한의계 보완대체의학 복합치료 권유(下) 전 세계 위암 치료 1위 성과를 외면 (1) | 2024.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