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노력해도 '살찌는 체질' 되는 이유...
이런 '다이어트'는 절대 하지 마세요!
끼니를 거르고 저(低)칼로리(calorie)로 음식을 먹고 몸을 많이 움직일수록 놀랍게도
몸은 점점 살이 잘 찌는 체질(體質)이 됩니다.
줄어든 기초대사량(基礎代謝量), 즉 살찌는 체질이 되는 것만큼 무서운 것이 없는데요.
살이 안 찌는 체질(體質)인 사람들도 나이가 들면서 하나 둘 살이 찌기 시작(始作)하고
2~3kg 훅훅 빠지던 체중(體重)도 더 이상 잘 안 빠지는 때가 옵니다.
오늘은 잘못된 다이어트로 인(因)해서 줄어든 기초 대사량(基礎代謝量) 늘리는 방법,
그리고 절대 하면 안 되는 다이어트(Diet) 방법을 딱 정리(整理)해 드릴게요.
대사(代謝)가 활발한 사람은 칼로리를 몸에서 더 많이 태우고 더 많이 먹을 수 있습니다.
먹고 싶은 음식 다 먹는 것 같은데 복근 장착한 분들은 대사 자체가 활발한 사람입니다.
반면 대사(代謝)가 활발하지 않은 사람은 칼로리(calorie)를 몸에서 많이 태우지 못해
조금만 먹어도 살이 찝니다.
개인(個人)의 대사량(代謝量)은 사실 같은 몸무게여도 큰 차이(差異)가 있는데요.
연구에 따르면 똑같은 80kg이더라도 대사가 활발하지 않은 사람은 하루에 1,400kcal,
대사가 활발한 사람은 하루에 3,700kcal까지 태웁니다.
크게는 2,300kcal 차이(差異)가 나는 거죠.
즉, 대사가 느리면 2,000kcal를 먹으면 살이 찌는 데, 대사가 활발하면 2,000kcal를
먹더라도 살이 쭉쭉 빠지는 것이예요.
그럼 어떻게 줄어든 대사량(代謝量)을 늘릴 수 있을까요?
과학적(科學的)으로 효과(效果)가 입증(立證)된 방법(方法)을 정리해 드릴게요.
첫 번째, 먹는 양 늘리기
첫째, 먹는 양(量)을 늘려준다.
먼저 먹는 양을 늘리는 건데요. 이게 진짜 중요합니다. 먹는 양이 적어서 대사(代謝)가
낮아진 경우라면 섭취(攝取)한 음식(飮食)의 양을 올려 주는 게 줄어든 기초 대사량을
늘리는 방법일 수 있어요.
여성분들 중에 아침, 점심은 대충 굶거나, 때워 버리고 저녁을 먹고 싶은 음식(飮食)을
먹는 형태로 체중(體重)을 감량 (減量)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빨리 살을 빼고 싶어서
대사에 대해서 신경을 전혀 안 쓰고 하루 1,000kcal 이내로 먹는 분들이 진짜 많아요.
그래서 체중은 진짜 진짜 빨리 빠지겠지만 이때 빠진 근육량은 쉽게 돌아오지 않습니다.
또 줄어든 대사(代謝) 역시 쉽게 회복(回復)되지 않아요.
우리의 몸은 끊임없이 적응을 하게 되는데요. 줄어든 식사량(食事量)에 적응해 버려서,
평소보다 조금만 더 먹으면 더 먹은 만큼 살이 확 쪄버리는 거예요.
연구(硏究) 결과에 따르면 지나치게 열량(熱量)을 제한(制限)하며 다이어트를 하면
할수록 근 손실(損失) 폭은 아주 크게 나타났습니다.
그래서 매번 말하지만 지나치게 적게 먹거나 또는 굶는 다이어트는 진짜 하시면 안 돼요.
끼니를 거르고 저(低)칼로리(calorie)를 먹고 몸을 많이 움직일수록 놀랍게도 우리 몸은
점점 살이 잘 찌는 체질(體質)이 됩니다.
왜냐하면 몸에 들어오는 게 없지만, 많이 쓰니까 다른 모든 게 절전(絶電) 모드가 되고
에너지(energy)만 들어오면 바로 저장(貯藏)하려고 하는 거예요.
예전에는 이만큼만 먹어도 쉽게 살이 훅훅 빠졌는데 이미 대사량과 근육량(筋肉量)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더 이상 굶거나 안 먹어도 살이 안 빠지는 거예요.
이런 분들의 경우에는 한두 달 정도 단계적(段階的)으로 식사량(食事量)을 늘리면서
근력(筋力) 운동(運動)을 병행(竝行)하는 방식으로 대사량(代謝量)을 높이고 그다음
다이어트(Diet)를 해주셔야 합니다.
여기서 반영해야 하는 거는 식사량을 얼마나 줄였는지, 어느 정도 기간 동안 줄였는지,
체지방률(體脂肪率)은 얼마만큼 줄였는지 등을 체크(check)해봐야 합니다.
만약 절식(節食)으로 살이 빠지지 않는 체질(體質)이 된 경우에는
첫 번째,
기초대사량(基礎代謝量), 하루 활동 에너지(energy)를 계산해서 섭취하는 칼로리를
전체적으로 세팅해 줘야 되고요.
두 번째,
일주일(一週日)동안 사용(使用)하는 에너지(energy)랑 최대(最大)한 비슷하게
일주일 식사(食事)를 먹어 주는 거예요.
마지막,
체지방량(體脂肪量), 근육량의 변화를 관찰하면서 식사량을 조절해 나가는 건데요.
여기에서는 식사(食事)로 빼려는 생각을 하지 마시고, 식사는 비슷하게 가져가시 거나
아주 살짝만 줄여 주시고 운동(運動)으로 빼 주셔야 합니다.
이분 뿐만 아니라 오히려 전(前)보다 더 많이 드시면서 근육량(筋肉量)은 늘어나고
체지방량(體脂肪量)은 오히려 감소 (減少)하신 분들이 많은데요. 이렇게 나에게 맞는
식사량(食事量)을 찾는 게 이렇게 중요(重要)합니다.
기초대사량이 나이가 들면서 줄어든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나이에 따른 총 에너지(energy) 소비량(消費量)을 보면 20대부터 60대까지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確因)할 수 있는데요.
사실 나이가 들면서 대사량(代謝量)이 줄어드는 건 기초대사량(基礎代謝量) 때문이
아니라 근육량(筋肉量) 때문입니다.
근육량(筋肉量)이 줄어들면 활동 대사량(代謝量)이 줄어들게 돼서 똑같은 활동을
똑같이 하더라도 소비(消費)되는 에너지가 줄어드는 거예요. 똑같이 걷더라도 근육량이
더 많은 사람은 에너지(energy)를 많이 태우게 되는 거죠.
실제 연구 결과에서도 총 에너지(energy) 소비량(消費量)과 근육량은 비례하는데요.
체지방(體脂肪) 1kg이 하루에 2kcal를 태우는 반면에 근육량(筋肉量) 1kg은 하루에
6kcal를 태웁니다.
만약 나이가 들어 근육량(筋肉量) 1kg이 줄어들고 체지방(體脂肪) 1kg이 늘어난다면
하루에 태우는 에너지(energy)가 3분의 1로 뚝 떨어지면서 살이 찌는 거죠.
보통 근육량은 30대(代)부터 서서히 감소(減少)하고, 노인(老人)이 되면 근육량은
절반 이하로 줄어드는데요. 주변에 살펴보면 30대 이후부터는 운동(運動) 하지 않으면
근육량(筋肉量)이 줄기 때문에 살이 찔 수밖에 없다는 거죠.
여기에서 운동은 유산소 운동보다는 근력 운동인데요. 무조건 주 3회를 추천드립니다.
2015년 의학 학술지에 따르면 8주간 근력 운동을 한 노인(老人)들이 2주 동안 운동을
중단(中斷)하면 약 25% 근육량(筋肉量) 감소(減少)가 일어났다고 하는데요.
꼭 하나만 운동을 해야 한다면 근 손실을 막기 위해서 근력(筋力) 운동을 하셔야 합니다.
두 번째, 체지방 줄이기
두 번째, 체지방(體脂肪)을 빼는 건데요.
'뭔 소리야, 대사량(代謝量)이랑 체지방이 무슨 상관이야'라고 하실 수 있지만, 실제로
체지방을 줄이게 되면 대사량이 늘어납니다.
2021년 과학 저널 ‘셀(Cell)’지(誌)에 실린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체지방량이 높을 수록
운동(運動)할 때 소모(消耗)하는 칼로리(calorie)가 줄어들었다고 해요.
우리가 300kcal 정도의 운동을 하게 되면 실제(實際)는 사실 300kcal를 우리 몸에서
태우는 것이 아니라 216 kcal 정도를 운동 (運動)으로 태우고, 나머지 84 kcal 정도는
기초대사량(基礎代謝量)에 뺏어서 사용한다는 건데요.
운동한 에너지의 28% 정도의 기초대사량(基礎代謝量)을 가져다 쓴다는 거예요.
엄청 억울하죠. 그것만으로도 억울한데 여기에서 체지방이 많은 분들은 운동한 것의 거의
절반을 기초대사량에서 가져다가 쓴다고 합니다. 300kcal 운동하면 153kcal 정도만
태울 수 있었다는 거예요.
결국 체지방이 많을수록 운동(運動)할 때 실제로 태우는 에너지는 적어진다는 거예요.
정리(整理)해 보자면, 줄어든 대사량(代謝量)을 늘리기 위해서는
첫 번째로는 식사량(食事量)을 늘려야 하고요.
두 번째로는 체지방량(體脂肪量)을 줄여야 하고요.
마지막으로는 근육량(筋肉量)을 늘려야 합니다.
오늘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스프에 있는 다양한 운동 글을 읽어보세요.
SBS 스프 조은비님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또 다른 정보가 더 보고싶은 회원님은 하단에 있는
SBS 스브스프리미엄(스프) "URL"을 클릭하세요.
SBS 스브스프리미엄 (스프) ; by조은비 (핑크힙, 응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https://premium.sbs.co.kr/
WWW.광주중의대.com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9개 식품 유형별 소비기한과 유통기간 발표... 유통기한 지난 ‘먹거리’ 먹어도 될까? (0) | 2025.02.10 |
---|---|
‘간암(肝癌)’ 예방하고 생존율 높이려면... 진단 되면 30%만 수술 가능한 암(癌) (0) | 2025.02.04 |
눈(眼), ‘마음의 거울’ 아닌 ‘질병의 거울’? 눈에서 알 수 있는 ‘질병’종류별 ‘증상’ (0) | 2025.02.03 |
암(癌)을 잡아내는 전략적 건강검진법... 통제할 수 없다고 운명에 맡겨야만 할까? (0) | 2025.01.21 |
암 사망자보다 더 많은 항생제 내성 균 사망자... 어떤 항생제도 소용 없는 '슈퍼 세균' 급증 (0) | 2025.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