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은 해외 유입 감염병 종류, 위험 국가 등 발표
해외여행 전(前) 예방수칙 중요성 강조
(서울=연합뉴스) 김영신 기자 =
질병관리청(질병청)은 최근 해외(海外) 출입국(出入國)이 증가하며
주요(主要) 해외유입(海外流入) 감염병(感染病) 발생이 늘고 있다며
예방수칙(豫防守則)을 준수(遵守)해달라고 밝혔다.
해외유입(海外流入) 감염병(感染病)은
◈ 세균성 이질(痢疾),
◈ 콜레라(cholera) 등 수인성(水因性) 식품 매개 감염병 2종(種)과
◈ 호흡기 감염병 홍역(紅疫)
▣ 뎅기열,
▣ 치쿤구니야열,
▣ 지카바이러스감염증,
▣ 말라리아 등 모기(mosquito)매개 감염병 4종 등 총(總) 7종이다.
이달 15일 기준 7종 감염병의 해외유입(海外流入) 사례는 145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7명)과 비교하여 약 5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뎅기열(dengue熱) 환자가 76명으로 가장 많았다.
세균성 이질이나 콜레라 같은 수인성*식품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려면
위생(衛生) 상태가 불분명한 물과 음식은 먹지 않고 충분히 익힌 음식을
섭취(攝取)하며, 손을 자주 씻는 등 개인위생 수칙을 지켜야 한다.
홍역은 올해 6월 기준(基準) 세계적으로 10만 명 이상(以上) 환자가
발생(發生)하고 있는데, 최근 인도, 중동, 아프리카 등에서 다수 환자가
나오고 있어 홍역(紅疫) 예방백신(MMR) 미 접종자와 면역저하 자는
해외여행(海外旅行) 중에 감염(感染) 위험(危險)이 높다.
국내(國內)에서 홍역 환자는 2020년 해외유입 사례로 발생한 이후로
2년간 전혀 없다가 올해 4명이 해외여행(海外旅行)에서 홍역(紅疫)애
감염(感染)되어 국내(國內) 입국(入國) 후 확진(確診)됐다.
홍역은 전염성(傳染性)이 매우 강한 감염병으로, 질병청(疾病廳)은
해외여행을 계획하는 사람들은 여행 전 MMR를 2회 모두 접종했는지
확인하고 2회 접종을 완료하지 않았거나 접종 여부가 불확실하다면
출국(出國) 전(前) 접종(接種)할 것을 권고했다.
모기 매개 감염병들은 기후변화(氣候變化)의 영향으로 모기 서식지와
개체(個體) 수가 늘며 전 세계적으로 증가(增加) 추세를 보인다.
올해 해외 방문 후(後) 모기매개 감염병 신고 환자 수는 총 126명으로
전년(27명)의 4.7배 수준이다. 유입 국가는
◆ 남수단,
◆ 인도네시아,
◆ 태국,
◆ 베트남,
◆ 필리핀 순이다.
모기 매개 감염병(感染病) 중 치쿤구니야열(ChikungunyaFever)은
세계 110개국 이상에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최근 중남미(中南美)에서
대규모 환자 발생이 확인되며 올해 2월 미주지역에 경보가 발령됐다.
◇ 태국,
◇ 필리핀 등
동남(東南) 아시아 지역에서도 다수 환자 발생이 확인되고 있다.
국내(國內)에서는 올해
▶ 태국,
▶ 베트남,
▶ 인도네시아 등을 방문(訪問)했던 4명이 확진(確診)됐다.
지카바이러스(Zika Virus) 감염증 신고(申告) 환자(患者)는 1명으로,
인도네시아(발리)를 방문(訪問)한 것으로 확인(確認)됐다.
특히 이 감염병은 모기 외 성접촉, 모자(母子)간 수직(垂直) 감염 등을
통해서도 감염(感染)되므로, 여행 이후 3개월간 임신(妊娠)을 연기하고
성접촉(性接觸)을 피하라고 질병청(疾病廳)은 안내(案內)했다.
질병청은 모기 매개 감염병의 예방을 위해서는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게
가장 중요하다며 여행(旅行) 중에는 긴팔·긴 바지를 입고 모기기피제를
사용(使用)하라고 밝혔다.
말라리아(malaria)는 예방약이 있으므로 여행 (旅行) 전 의료기관을
방문해 여행 지역에서 유행하는 말라리아의 약제 내성(耐性)을 고려한
예방약(豫防藥)을 미리 처방(處方)받아 복용할 것을 권고했다.
지영미 청장은 "입국 시 검역 정보에 건강 상태를 정확히 입력하고,
귀국(歸國) 이후에 의심증상 발생 시 해외 감염병 신고센터나 1339에
반드시 알려달라"라며
"증상이 계속되면 신속히 의료기관을 방문해 해외여행 이력을 알리고
진단·치료받으라"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김영신 기자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이 정보에 대한 궁금증은 하단에 있는 기자님의 메일 주소로
직접 문의하시거나 또 다른 정보가 더 보고 싶은 회원님은
연합뉴스 "URL"을 클릭하세요.
연합뉴스 ; 김영신 기자 (shiny@yna.co.kr)
http://www.yonhapnews.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WWW.광주중의대.com
'의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가락이 ‘이렇게’ 생기면 탈모 위험 높아... 과도한 테스토스테론에 의한 모낭 수축이 원인 (0) | 2023.08.08 |
---|---|
임신 가능성 있다면 기형아 출산 예방 위해... 전문가의 권고, '이것'만은 반드시 먹어야 (0) | 2023.08.07 |
입 대고 마신 생수병을 다음 날 또 마셨다간... 세균이 빠르게 번식해 식중독 일으켜 (0) | 2023.07.31 |
치매(癡呆)로 이어질 수 있는 "경도 인지 장애"... 망막 영상 분석으로 진단하는 AI 개발 (0) | 2023.07.25 |
벌써 잊었나 심상치 않은 코로나 재유행 확산... 확진자 하루 평균 2만6천명대 (0) | 2023.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