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료인 이야기

인구 고령화로 급증하는 의료 수요 대비해야... 한국, 한의사 제외하니 의사수 OECD 꼴찌

728x90

인구 고령화로 급증하는 의료 수요 대비해야...

한국, 한의사 제외하니 의사수 OECD 꼴찌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지난해 한의사(韓醫師)를 제외(除外)한 우리나라의 의사(醫師) 수(數)는

인구(人口) 1,000명당 2.12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국가 중에

꼴찌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2018~2022) 의사들의 증가율(增加率)도 0.17명에 불과했다.

같은 기간 경북 지역은 전체 의사 수가 4명 순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首都圈)을 중심으로 의원급(醫院級) 의료기관(동네 병*의원)과

병원급(病院級) 의료기관(요양병원 제외)이 신설(新設)되면서 의사(醫師)

인력(人力) 부족(不足) 현상이 더욱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간한 ‘지역별 의료이용통계연보(2018∼2022)’에

따르면 지난해 말(末) 기준 우리나라 인구 1,000명당 평균 의사 수(數)는

5년 전(前)보다 0.17명 늘어난 2.12명(한의사 제외)에 그쳤다.

 

2021년 우리나라의 의사 수(한의사 포함)는 인구 1,000명당 2.6명으로

전체 OECD 회원국 중에 멕시코(2.5명) 다음으로 적었는데, 한의사 수를

제외하니 멕시코보다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기준(基準), OECD의 평균(平均) 의사(醫師) 수(數)는 3.7명이다.

 

지역별(地域別)로 보면 지난해(2022년) 인구 1,000명당 의사(醫師) 수는

◈ 서울 3.35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 대구 2.58명,

◈ 광주 2.57명,

◈ 대전 2.56명,

◈ 부산 2.48명 순이었다.

 

반면

▣ 전북(2.05명),

▣ 강원(1.78명),

▣ 인천(1.76명),

▣ 제주(1.74명),

▣ 전남(1.71명),

▣ 경남 (1.71명),

▣ 경기(1.69명),

▣ 울산(1.60명),

▣ 충북(1.54명),

▣ 충남(1.46명),

▣ 경북(1.36명),

▣ 세종(1.28명)은

전국(全國) 평균(平均)인 2.12명을 크게 밑돌았다.

 

최근 5년간 인구(人口) 1,000명당 의사(醫師) 수가 전국 평균(0.17명)을

상회한 시도는 전국 16개 시도 중

◆ 세종(0.43명),

◆ 서울(0.38명),

◆ 대구(0.27명),

◆ 부산(0.22명),

◆ 경기(0.17명) 등 5개에 불과했다.

 

특히

◇ 경북(慶北) 지역은 전체 의사 수(數)가 오히려 4명 감소(減少)했다.

 

의료계(醫療界) 관계자는

"2006년부터 현재까지 18년째 연간 3,058명으로 묶여 있는 의대 정원이

늘지 않는다면 앞으로 도미노처럼 경북 지역 뿐만 아니라 다른 시*도들도

의사 수가 점점 더 부족(不足)해져 순감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의료기관들이 인구가 많거나, 유입이 많은 수도권(首都圈)을 중심으로

신설(新設)되면서 의료 인력 부족을 호소하는 병원들도 늘고 있다.

 

최근 5년간 전국에서 의원급 의료기관 3,240곳이 새롭게 문을 열었다.

지역별(地域別)로는 수도권 (首都圈)이 71.1%인 2,303곳(서울 1,095곳,

경기 1092곳, 인천 196곳)으로 가장 많았다.

 

이밖에도 인구(人口)의 유입(流入)이 많은 '부산(220곳)', '대구(164곳)',

'광주(88곳)' 등의 순(順)이었다.

 

같은 기간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요양병원 제외)도 210곳이 새롭게 생겼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 지역에 전체의 34.8%인 73곳이 문을 열었다.

 

의료계 내부에서는 인구 고령화(高齡化)로 급증하는 의료 수요(需要)에

대비해 의대(醫大) 정원(定員)을 늘리되 매년 일정 규모씩 확대하기 보다

주기적(週期的)으로 의료 수요를 예측해 의대정원을 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박은철 연세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최근 한 포럼에서

"우리나라의 인구가 고령화되고 있어서 의대 정원을 늘려야 한다"면서

"2030년 즈음 의사 수가 최대 만 명 정도 부족하게 돼 지금부터 10년가량

지역·필수의료 문제가 굉장히 큰 이슈가 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다만 2025년부터 2029년까지 5년간 의대(醫大)정원(定員)을 늘려놓고,

이후 5년간 정원을 그대로 유지한 이후 2035년부터 5년마다 의료 수요를

바탕으로 의대정원을 단계적으로 축소(10→30%)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통계청(統計廳)의 인구 추계에 따르면 2040년까지 고령 인구 급증으로

의료(醫療) 수요(需要)가 늘어나고, 이후에는 저출산(低出産)의 장기화로

총 인구(人口)가 감소(減少)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이유(理由)다.

 

박 교수는

"의약분업(醫藥分業) 이후 감축(減縮)된 정원 351명과 지방의대 153명

(현재 의대정원 3,058명의 5%)을 합산한 504명 증원(增員)하는 방안을

제안(提案)한다"면서

 

"의대 정원을 1,000명 늘려 놓으면 수요와 공급을 고려(考慮)했을 때

2040년께 의사 2,494명, 2070년엔 11만 명이 남아돌아서 비급여 진료가

팽창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뉴시스 백영미 기자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이 정보에대한 궁금증은 하단에 있는 기자님의 메일주소로

직접 문의하시거나 또 다른 정보가 더 보고싶은 회원님은

뉴시스"URL"이나 회사 로고를 클릭하세요.

 

뉴시스 ; 백영미 기자 (positive100@newsis.com)

http://www.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NEWSIS.COM,

 

 

 

WWW.광주중의대.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