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상식

혈액암의 일종인 '림프종(임파선암)'이란? 림프종의 원인, 증상, 치료 방법, 결과 등

728x90

혈액암의 일종인 '림프종(임파선암)'이란?

림프종의 원인, 증상, 치료 방법, 결과 등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우리 몸 구석구석에는 외부(外部)의 세균(細菌)들이나 바이러스 (virus)의

침입(侵入)을 막아주는 림프(lymph)계(系)라는 조직이 있다.

 

외부(外部)에서 병균(病菌)이나 바이러스 (virus)가 침입하면 림프계 속의

면역세포(免疫細胞)가 이들과 치열한 전투(戰鬪)를 벌이는 것이다.

 

이런 림프(lymph)계(系)에서도 면역세포(免疫細胞)가 종양으로 변하면서

암(癌)이 발생하는데, 바로 혈액암(血液癌)의 일종인 '림프종'이다.

 

과거에는 림프(lymph)를 한자(漢字)로 음역(音譯)해 임파(淋巴)로 쓰면서

'임파선암(淋巴腺癌)'으로 부르기도 했다.

 

대한혈액학회에 따르면 림프(lymph)종(腫)은 크게

◈ 호지킨(Hodgkin) 림프종과

◈ 비(非) 호지킨 림프종으로 나뉜다.

 

호지킨(Hodgkin)은 1832년 이 질환을 처음으로 보고한 영국의 병리학자

토마스 호지킨(Thomas Hodgkin) 박사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국내(國內)에서는 고령화(高齡化) 추세에 따른 혈액암의 증가세와 맞물려

림프(lymph)종(腫)으로 진단(診斷)받는 환자(患者)들이 늘고 있다.

 

통계청(統計廳)이 집계한 '24개의 암(癌) 종별(種別) 발생률 통계'를 보면,

국내(國內) 림프(lymph)종(腫) 환자(患者) 수(數)는 2011년 3천931명에서

2021년 6천82명으로 10년 사이에 1.5배 증가(增加)했다.

 

전체(全體) 림프종 중에는 악성(惡性)으로 분류되는 비(非)호지킨(Hodgkin)

림프(lymph)종(腫)이 전체의 94%가량을 차지했다.

 

림프(lymph)종(腫)은 신체(身體) 어디에서든 발생하고, 전이(轉移)도 잘 돼

세부(細部) 종류(種類)들만 100여 가지에 달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 이유(理由)는 림프(lymph)계(系)를 구성(構成)하는 혈관(血管) 모양의

림프관(管)과 림프절(節)이 온몸으로 퍼져 있기 때문이다.

 

림프관에는 림프구(球)를 포함(包含)해 혈액(血液)의 혈청(血淸)과 흡사한

무색(無色)의 림프액(液)이 흐르고 있으며, 또 림프절은 이 림프관을 따라서

다양한 크기로

◆ 목,

◆ 겨드랑이,

◆ 사타구니,

◆ 뱃속,

◆ 가슴속 등 전신에 분포한다.

 

◇ 비장(脾臟),

◇ 흉선(胸腺),

◇ 편도(扁桃) 등도 림프(lymph)계(系) 조직(組織)의 일부다.

 

이러한 까닭에 림프(lymph)종(腫) 환자들은 저마다 처한 상황이 다르고,

증상과 치료 방법, 결과 등도 차이가 나는 편이다. 따라서 림프종은 초기에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診斷)하는 것이 중요(重要)하다.

 

호지킨(Hodgkin) 림프종의 경우에는 주로 어린 나이에 머리나 목 부위 등

몸의 일부에서만 혹이 생겨나고, 통증(痛症) 없이 서서히 일정한 방향으로

자라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치료(治療)가 쉬운 편이다.

 

하지만 비(非)호지킨 림프(lymph) 종(腫)은 전신에 걸쳐 증상이 나타나고

여러 장기(臟器)에도 침범(侵犯)해 위험(危險)하다.

 

발병 초기(初期)에는 거의 증상 (症狀)이 없으며, 목이나 겨드랑이 부위에

혹이 만져져서 알게 되는 경우가 상당수다.

 

소화기계에서는 장폐색, 출혈, 천공 등의 증상으로 발견되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좀 더 진행되면 38.5도 이상의 발열이나 야간 발한(= 땀), 체중 감소,

피로감 등의 전신 증상이 나타나며, 그 외에 어떤 부위에 침범되었느냐에

따라 증상 (症狀)이 달라진다.

 

림프(lymph) 종(腫)의 발병 원인(原因)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그렇지만, 장기이식수술(臟器移植手術)을 받고 면역억제제(免疫抑制劑)를

복용*服用) 중이거나

◐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

◐ 자가면역질환 등을 가진 환자에게서 발병률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서

면역기능 저하와 염색체(染色體) 이상이 발병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림프절 혹은 침범(侵犯) 장기(臟器) 조직(組織)을

떼어내 병리학적(病理學的) 검사(檢査)를 진행(進行)한다.

 

간(肝), 신장(腎臟), 골수(骨髓)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혈액검사(血液檢査)가

시행되며, 중추신경계(中樞神經系) 침범(侵犯)이 우려(憂慮)되는 경우에는

뇌척수액(腦脊髓液) 검사(檢査)도 이뤄진다.

 

치료 방법은 조직 검사 소견에 따라서 병기별(病期別)로 조금씩 다르다.

저위험(低危險) 림프종의 경우 진행이 느려 경과(經過) 관찰만 이어가기도

하지만, 중위험(中危險) 림프종은 빠른 항암 치료(抗癌治療)가 이뤄지지

않으면 수개월 내에 사망할 수도 있어 항암화학요법이 필수적이다.

 

고위험(高危險) 림프종은 급성(急性) 백혈병(白血病)과 경과가 비슷해서

항암화학요법이 더욱더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부위가 국소적이거나

재발의 위험이 높을 경우 방사선(放射線) 치료를 병행하기도 한다.

 

요즘은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이나 카티(CAR-T=키메릭 항원 수용체 T세포)

등의 최신 치료법이 나오면서 완치율(完治率)이 높아지고 있다.

 

고려대 안산병원 혈액종양내과 박진희 교수는

"림프종은 혈액암(血液癌)이라는 이유(理由)로 환자들의 두려움이 크지만,

호지킨 림프종 4기인 경우에도 75% 정도의 완치율(完治率)을 보일 정도로

치료효과가 좋아졌다"면서

 

"또한 비 호지킨 림프종도 이제 30~60% 정도의 완치율이 보고되고 있는

만큼 무엇보다 적극적인 치료를 받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몸속 림프계

[대한혈액학회 제공]

 

 

연합뉴스 김길원 기자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이 정보에대한 궁금증은 하단에 있는 기자님의 메일주소로

직접 문의하시거나 또 다른 정보가 더 보고싶은 회원님은

연합뉴스 "URL"이나 회사 로고를 클릭하세요.

연합뉴스 ; 김길원 기자 (bio@yna.co.kr)

http://www.yonhapnews.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WWW.광주중의대.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