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 한의학, 한의사,한의대

(150)
한약이 항암 치료 중 관리에 도움될까? 암(癌) 전문 한의사의 처방은 안심 한약이 항암 치료 중 관리에 도움될까? 암(癌) 전문 한의사의 처방은 안심 진료(診療)를 하다 보면 종종 듣는 질문(質問)이 있다. “한약(韓藥)을 먹으면 안 되지 않나요?”, “한약을 먹으면 간(肝)이 나빠지지 않나요?” 등 등... 대부분의 암(癌) 환자(患者)들 분들이 항암(抗癌) 치료(治療) 중인데, 항암제(抗癌劑)는 간(肝) 독성이 강(强)해서 간 기능이 나빠질 수 있다. 이에 추가로 복용 (服用)하는 건강보조식품들이 간(肝) 손상(損傷)을 일으킬 염려(念慮)가 있어 주의(注意) 시키는 경우가 있다. 암(癌) 환자분(患者)들이 한약(韓藥)에 대한 주된 궁금 점을 살펴보자. Q. ; 한약의 안정성, 검증됐나? 한약의 간(肝) 손상에 대해서는 국내에서 대규모 연구가 있었다. 지난 2017년 한국한의..
대한암한의학회와 미국과 캐나다 통합의학연구원...한의 통합 암치료 국제교류 MOU 체결 대한암한의학회와 미국과 캐나다 통합의학연구원... 한의 통합 암치료 국제교류 MOU 체결 [민족의학신문=박숙현 기자] 미국(美國)과 캐나다(canada)에서 활동하는 한의사(韓醫師)들이 대전대 서울한방병원을 방문하며, 대한암한의학회와 한국형(韓國型) 통합(統合) 암치료(癌治療)를 비롯한 한의학 교류(交流)를 약속했다. 대한암한의학회(회장 유화승)는 미국 통합의학연구원(American Integrative Medicine Institute, 이하 AIMI) 대표 회원(會員)들이 지난 14일 대전대학교 서울한방병원 동서암센터를 방문(訪問)하며 국제교류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AIMI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활동 중인 한의사(韓醫師)들로 구성된 미국 한의사 네트워크로 이번 방문은 지난 2019년 11월 1일..
체질(體質= Constitution)의학(醫學)이란?(3부) 8체질론의 오해와 증명 체질(體質= Constitution)의학(醫學)이란?(3부) 8체질론의 오해와 증명 8체질론(八體質論)에서도 체질은 유전(遺傳)한다고 규정(規定)했다. 아이의 체질은 어머니 혹은 아버지 쪽으로부터 물려받는 것이다. 그러므로 체질은 스스로 선택(選擇)할 수도 바꿀 수도 없다. 그리고 죽는 날까지 변하지 않는다. 체질(體質)이란 인간(人間) 개체(個體)가 생명(生命)을 유지(維持)하면서 살아가는 동안에 절대적으로 고정(固定)된 특성(特性)인 것이다. 동무(東武) 이제마(李濟馬) 공(公)의 사상인론(四象人論)에서는 유전과 관련(關聯)하여 ‘유전(遺傳)이 된다는 시사점(示唆點)은 발견할 수 있으나’ 명확(明確)한 개념(槪念) 규정(規定)은 없다. 반면에 권도원 선생은 ‘8체질은 반드시 유전된다’고 명확하게 표명..
체질(體質= Constitution)의학(醫學)이란?(2부) 내장구조, 8체질, 체질 유전 체질(體質= Constitution)의학(醫學)이란?(2부) 내장구조, 8체질, 체질 유전 내장구조(內臟構造) 사람에게서 체질(體質= Constitution)이란 무엇인가? 바로 다름이다. 어떤 다름인가? 즉, 내장구조(內臟構造)가 다르다는 뜻이다. 내장구조(內臟構造)란 무엇인가? 우리 몸의 내장기관(內臟機關)은 장(臟)과 부(腑)가 있다. ◈ 장은 속이 꽉 찬 장기 즉 solid organ이며, ◈ 부는 속이 빈 장기 즉 hollow organ이다. 장(臟)이란 ◆ 간(肝, liver) ◆ 심(心, heart) ◆ 췌(膵, pancreas)3) ◆ 폐(肺, lung) ◆ 신(腎, kidney)이고, 부(腑)는 ◇ 담(膽, gall bladder) ◇ 소장(小腸, small intestine) ◇ 위(胃..
체질(體質= Constitution)의학(醫學)이란? (1부) 체질맥과 체질의 유전 체질(體質= Constitution)의학(醫學)이란? (1부) 체질맥과 체질의 유전 체질맥의 의의 의학체계(醫學體系)이라면 모름지기 생리(生理)와 병리(病理), 그리고 진단(診斷)과 치료(治療)의 체계(體系)를 모두 갖추어야 한다. 그런데 체질의학(體質醫學)에서는 진단에 앞서 감별(鑑別)이 선행된다. 체질(體質) 감별(鑑別)이 안 되면 치료의 절차를 진행(進行)할 수가 없다. 그러니 반드시 정교(精巧한 감별도구(鑑別道具)가 필요하다. 1962년에, 첫 체질침(體質鍼) 논문(論文)이 준비되던 시기(時期)에는 정형화된 감별도구가 없었다. 한의학 (韓醫學)의 전통적인 변증(辨證)과 진단(診斷) 방식(方式)에서 차용하여 체질(體質)을 감별(鑑別)했다. 그러다가 1964년 말 쯤에 체질맥(體質脈)이 발견되었다(고..
사상체질별 신체적 특성 분석 연구 발표... 맞춤형 신체관리의 과학적 토대 마련 사상체질별 신체적 특성 분석 연구 발표... 신체관리의 과학적 토대 마련 [민족의학신문=김춘호 기자] 태음인(太陰人)이 다른 유형(類型)의 체질(體質)과 비교(比較)했을 때 ◈ 체중(體重)과 ◈ 체질량 지수(體質量指數= BMI), ◈ 체지방량 등이 높은 반면 ▣ 근육량(筋肉量)은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부산대 한의학전문대학원 연구팀은 최근 수백 명의 사상체질(四象體質)별 신체 특성을 분석해 태음형 비만(肥滿)의 발생(發生) 메커니즘을 설명하고 태음인(太陰人) 진단법(診斷法)을 개선한 연구결과(硏究結果)를 발표해 맞춤형 신체관리의 과학적(科學的) 토대(土臺)를 마련했다. 부산대학 한의학전문대학원 이정윤 교수 연구팀이 최근 395명의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사상체질(四象體質)별 신체적인 특성을 분석한 ..
한국 한의학(韓醫學)과 대만 중의학(中醫學)... 교육과 국가시험에 있어서 차이점(下) 한국 한의학(韓醫學)과 대만 중의학(中醫學)... 교육과 국가시험에 있어서 차이점(下) [편집자 주] 본란에서는 지난 3일부터 5일까지 대만 방문을 통해 대만 중의학(中醫學) 교육체계(敎育體系)의 전반적인 과정을 살펴보고 돌아온 이은용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한의사시험위원장으로부터 대만에서의 느낀 점과 한의사(韓醫師) 국가시험의 발전 방안 등에 대해 들어봤다. Q. ; 대만 중의학 교육에서 느낀 점은? 방문(訪問) 일정이 촉박해서 세밀한 내용까지 들여다보기는 힘들었지만, 대만(臺灣)의 중의학(中醫學) 교육이 7년제 교육이라는 점과 PGY1, 2의 2년간 교육을 완료해야 개원의(開院醫)자격이 주어지고, 그렇지 않으면 봉직의로만 근무할 수 있는 부분에서 깊은 인상을 받았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우선 학부..
한국 한의학(韓醫學)과 대만 중의학(中醫學)... 교육과 정책 분야에서 차이점(中) 한국 한의학(韓醫學)과 대만 중의학(中醫學)... 교육과 정책 분야에서 차이점 (中) Q.; 대만과 한국 한의학 교육의 유사한 부분은? 짧은 시간의 방문(訪問)이라서 구체적 상황을 파악하지는 못했지만, 교육과정과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에서 비슷한 점이 많은 듯하다. 대만(臺灣)은 중의기초학(中醫基礎學) 과정(課程)에서 ◈ 중의학사, ◈ 중의기초이론, ◈ 내경, ◈ 난경, ◈ 중의방제학, ◈ 중의약물학, ◈ 국문(작문·번역) 등을, 중의임상의학 과정에서 ▣ 중의내과학, ▣ 중의부인과학, ▣ 중의소아과학, ▣ 중의외과학, ▣ 중의상과학, ▣ 중의오관과학, ▣ 침구과학 등을 교육하고, 이 과목들은 중의사(中醫師) 국가고시(國家考試)에 포함돼 있다. 또한 임상실습(臨床實習)의 교육(敎育)과 평가(評價) 프로그램으로..